“현대차, 울산자동차 박물관 계획 이행하라” 시의회 촉구 결의안
입력 2014-01-06 01:50
현대자동차가 2005년부터 추진하다 무기한 중단된 울산자동차 박물관을 반드시 건립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울산시는 김진영 시의원의 ‘자동차 박물관 건립 추진’에 대한 서면 질문에 대해 “이해 당사자인 강동산하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 측이 법적 강제성을 포함한 다양한 수단을 강구해 자동차전시박물관 건립을 촉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울산시 등에 따르면 현대차는 2005년 울산 북구 산하구획정리사업지구에 약 200억원을 투자해 연면적 7400㎡에 지상 2층·지하 1층 규모의 자동차전시장 및 자동차관련시설을 건립한다는 내용의 의향서를 시에 제출했다.
이에 강동산하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은 울산시와 현대자동차의 의향서를 바탕으로 당초 소유면적 2만6018㎡의 환지권리면적인 9861㎡에 추가로 2535㎡를 더 제공해 1만2396㎡를 자동차박물관 부지로 배정했다. 그러나 현대차는 9년이 지난 지금까지 구체적인 건립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있다. 현재 이 땅은 미등기 상태에서 테니스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울산시는 지난해 KTX 울산역 복합환승센터에 자동차테마파크를 건립해 달라고 현대차에 요구했지만 거부당했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는 2016년 준공 목표로 경기도 고양시에 자동차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현대자동차 자동차 박물관(연면적 6만2755.97㎡)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울산시의회는 지난해 12월 현대차가 울산에 자동차전시박물관을 건립하도록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했다. 또 교통문화시민연대와 참실천미래봉사대, 교통문화협동조합 등도 지난해 12월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자동차에 자동차박물관과 교통연수원의 울산 건립을 촉구했다.
시 관계자는 “현대차가 자동차박물관을 강동산하지구 내에 건립키로 계획하고 과도환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건립계획을 취소한다면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이미지 실추는 물론 기업 활동에도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물리적 여건변화와 지구 및 주변 개발추이 등을 감안해 박물관 건립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