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처, 석탄노조 파업때 軍병력까지 동원 검토” 英 가디언 보도

입력 2014-01-04 01:50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석탄노조의 파업이 극심하던 1984년 군 병력까지 동원해 파업을 종식하고 국가비상사태까지 선포하려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가디언이 3일 보도했다.

가디언은 영국 국가기록원이 공개한 내각문서 등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대처 전 총리가 당시 군 병력을 동원하는 것은 정부 정책상 배제된 사항이었음에도 이들을 동원해 석탄 수송을 맡게 할 비상계획을 수립하라고 내각에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당시 비상계획은 4500명의 병력과 1650대의 군용 덤프트럭을 이용해 하루 100만t의 석탄을 화력발전소에 수송하는 것이었다. 이밖에 석탄노조의 파업에 동조하는 항만노조의 파업에 대비해 군 병력을 동원하는 별도의 비상계획인 작전명 ‘할버드’(halberd·도끼와 창을 결합시킨 형태의 옛날 무기)도 설립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항만노조는 동조파업을 12일간 61개 항구에서 벌였다. 이로 인해 석탄하역은 물론 식료품 수입이 중단되는 등 물류가 마비됐다.

대처 전 총리는 이와 관련 1984년 7월 18일 열린 석탄 관련 내각특별위원회에서 13개 분야 2800명의 병력을 동원해 도크에서 하루 1000t의 석탄을 하역할 수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하지만 군 병력이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가비상사태 선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그는 당시 파업으로 수입식품 하역에 차질을 빚자 법무비서관에게 군 병력을 국가비상사태 하에서 하역에 동원했을 경우 문제점을 묻기도 했다. 존 스탠리 국방장관은 2800명 이상의 병력을 지원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대처 전 총리의 강공책은 실제로 이행되지 않았다. 항만노조가 파업을 철회했기 때문이다. 당시 내각 관계자는 “항만노조보다는 석탄노조의 파업이 더 중요했기 때문에 정부로서는 이른 시일 내에 항만노조의 파업을 종식하는 데 우선순위가 있었다”고 말했다. 석탄노조는 결국 1985년 파업을 풀었다.

지난해 4월 87세의 나이로 타계한 대처 전 총리는 석탄노조의 파업을 강경 진압해 ‘철의 여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