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실장까지 나서 진화했지만… ‘2월 개각론’ 확산일로
입력 2014-01-03 03:27
김기춘 비서실장까지 나서 청와대는 거듭 부인하고 있지만 정치권을 중심으로 새해 벽두부터 ‘2월 개각론’이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는 지난해 존재감이 없었던 박근혜정부 1기 내각에 대해 ‘당연히 바꿔야 한다’는 비판적 시각이 깔려 있다.
특히 새누리당에서 개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쏟아진다. 시기는 설날(1월 31일) 이후인 2월이 적기라고 입을 모은다. 친박근혜계 핵심 의원은 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1월 이후 중폭 정도의 개각이 단행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1월은 새해 예산안을 정책에 적용하는 바쁜 때이고, 6·4 지방선거에 차출될 장관도 결정되지 않아 일단은 ‘유예기간’을 둘 것이라는 얘기다. 2월은 박 대통령이 취임 1주년을 맞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구체적으로 기획재정부, 미래창조과학부, 고용노동부, 해양수산부를 수장이 바뀌어야 할 부처로 꼽았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에 대해 “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비판했고, 미래부(최문기 장관)와 해수부(윤진숙 장관)에 대해선 “현 정부에서 새로 만들고 부활시킨 부처인데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방하남 노동부 장관은 철도노조 파업 국면에서 문제 해결에 지나치게 소극적이었다고 지적했다.
다른 여당 의원은 “상황을 이렇게까지 몰고 온 경제팀에 대한 교체는 불가피하다”며 “국민들에게 보여주는 측면에서라도 개각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의원은 “집권 2년차를 시작하는 정부의 박진감을 강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인사”라고 강조했다.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라도 개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청와대는 개각설이 비등하자 ‘지금’ 개각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서둘러 진화에 나선 모습이다. 김 실장이 이날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자청해 개각 불가 입장을 밝힌 것도 개각론이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오전엔 이정현 홍보수석이 “개각은 현재로선 전혀 검토되는 게 없다”며 “개각 얘기 자체가 행정부를 흔들게 된다. 연초에 해야 할 일들이 많은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청와대가 부처 공무원들을 향해 개각 여부에 관심을 두지 말고 경제회복의 불씨를 살리려는 노력에 집중하라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또 개각론을 얘기할 시점이 아니라는 신호를 여당에 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고위 공직자 대폭 교체 시나리오가 구체화되는 상황을 두고 장관들에게 마지막 기회를 주는 경고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후에도 장관들이 업무에서 역량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 다음 순서는 개각이라는 의미다. 실제로 청와대가 개각설을 강하게 부인하면서 ‘지금’ ‘현재’라는 표현을 쓴 대목이 주목된다. 당장 개각은 없겠지만 박 대통령이 집권 2년차의 중요성을 감안해 개각 시기와 규모를 저울질하고는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유성열 권지혜 유동근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