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비서관 줄사표… 청와대·내각 인사태풍, 국정운영 ‘一新 새바람’

입력 2014-01-02 01:34

김행 청와대 대변인 사퇴와 국무총리 산하 1급 고위직 공무원 10명 전원 사직서 제출로 새해 초부터 관가에 대규모 인사 조짐이 일고 있다. 청와대 참모진 개편과 고위 공무원 교체가 단행될 경우 정부 전체에 ‘인사 태풍’이 불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전조(前兆)가 개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설(說)’도 고개를 드는 모양새다. 집권 2년차를 맞은 박근혜 대통령이 첫해 국정운영의 단점을 일신(一新)하고 공직사회에 새 바람을 일으킬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대변인 교체가 일부 참모진 개편으로 연결되는 일종의 ‘사인(sign)’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박 대통령은 1급 비서관 이하에 대해선 지난해에도 수시로 교체 인사를 단행했다. 김선동 전 정무비서관이 주광덕 비서관으로 바뀌었던 게 대표적이다. 김 전 대변인과 함께 민정수석실 이혜진 법무비서관과 고용복지수석실 정영순 여성가족비서관도 교수직 복귀를 위해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석급 이상에서 바뀌는 사람이 나올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청와대 비서실장 산하 정무·민정·홍보·국정기획·경제·미래기획·교육문화·고용복지·외교안보 등 모든 수석에 대한 업무평가를 통해 제대로 역할과 기능을 하지 못한 이유와 보완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이다. 차관급 1·2차장 직제가 신설된 국가안보실 인사와 맞물려 일부 수석의 자리이동 또는 교체 가능성이 높다는 추측이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여름휴가를 끝내자마자 최순홍 당시 청와대 미래기획수석을 윤창번 현 수석으로 교체했다.

이와 함께 수석실별 업무조정 및 인원 증원 등도 이뤄질 개연성도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2월 말 취임한 뒤 직전 ‘이명박(MB) 청와대’보다 근무 인원을 3분의 1 정도 줄이는 ‘다운사이징’을 했었지만 앞으로는 효율성을 감안, 업무에 꼭 필요한 인원을 충원할 것이라는 얘기다.

정부 각 부처 역시 총리실 1급 공무원 전원 사표 후폭풍이 몰아칠 것으로 보인다. 각 부처 고위 공무원 대폭 물갈이가 구체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많다. 정부 관계자는 1일 언론 접촉을 통해 “청와대에서 고위 공무원 전원 교체를 통해서라도 2년차 새 정부의 국정운영에 본격적인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는 흐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총리실 산하 1급들의 사표 제출이 박 대통령과 정홍원 국무총리의 교감 속에 진행됐다는 말도 있다”고 전했다.

앞서 총리실과 국무조정실 소속 심오택 국정운영실장, 권태성 정부업무평가실장, 강은봉 규제조정실장, 류충렬 경제조정실장, 조경구 사회조정실장, 김효명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장, 김희락 정무실장, 이태용 민정실장, 신중돈 공보실장, 박종성 조세심판원장 등이 한꺼번에 사표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사표를 제출한 한 공무원은 “정 총리에게 국정운영을 위한 운신의 폭을 넓혀주자는 차원에서 사직서를 냈다”고 했다.

장관들 가운데 일부가 교체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가 각 부처 수장들에 대한 지난 1년 동안의 업무수행을 자세하게 평가했다는 말이 돌면서 이 평가에서 하위를 기록한 장관들은 당연히 바꾸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꼬리를 물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말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개각 얘기는 없는 걸로 안다”고 언급한 바 있어 시기가 다소 늦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