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지형이 바뀐다] 진보가 고백하는 ‘진보의 반성문’… ‘반대 위한 반대’ 벗어나 대안 제시 필요
입력 2014-01-02 01:32
“이젠… 바뀌어야” 보수·진보, 변화를 말하다
진보 진영에서는 이념 논쟁이나 ‘반대를 위한 반대’에서 벗어나 대안을 제시하고 수권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는 반성이 나왔다. 새로운 세대와 소통하는 공감 능력을 길러야 한다는 조언도 제기된다. 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단순히 집권당에 대한 반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그들이 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채찍을 들고, 때로는 보완을 해주면서 민생을 진전시키는 것이 야당으로서의 역할”이라며 “민주당은 그 점에서 성찰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추 의원은 구체적으로 “야당이 대안세력으로서 여당에 자극을 주고 정치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보면 야당의 지리멸렬과 자기 내부를 청산하지 못하는 것, 구심점을 모으지 못하는 것 등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추 의원은 결국은 진보세력이 집권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민생 개선, 남북통일 비전 등이 진보 진영의 역할인데 집권을 놓침으로써 실기를 했다”며 “집권은 민심의 힘으로 가능한데 민심의 바다에서 함께 가는 노력들이 필요하다. 지금은 (진보세력이) 좀 떨어져나와 고립화되고 있는 게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념 논쟁에서 벗어나 민생중심·현장중심으로 가야 한다는 반성도 나왔다. 민주당 우원식 최고위원은 “민주당이 집권하기 전인 평화민주당(평민당) 시절에는 현장에 있었고 국민들이 평민당을 찾아왔다”며 “민주당이 스스로를 진보라고 이야기하고, 중산층과 서민을 말하면서 정치 행태는 기득권자와 똑같은 ‘야당 귀족주의’의 모습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진보냐 보수냐의 논쟁을 떠나 무엇이 고통을 받고 있는 국민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가장 중요한 주제로 두고 실천적으로 현장을 찾아가야 한다”며 “대안을 만드는 ‘현장주의’, ‘민생주의’ 노선이 민주주의를 바로 세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진보 진영이 정치세력 간 차이점보다 공통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같은 당 김현 의원은 “단결된 모습으로 국민들에게 신뢰감을 주는 정치세력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차이를 드러내고 강조하기보다 작은 차이를 극복하고 단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보 진영이 ‘공감의 힘’을 키울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김태일 교수는 “최근 ‘안녕들 하십니까’ 현상을 보면서 진보세력이 공감 능력을 더 많이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안녕들 하십니까’는 민주화운동 시절 문법과는 다르며 민주화운동 세력이 새로운 시대와 새로운 감수성을 갖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또 “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이 민생과 사회·경제적 문제를 중심축으로 놓고 잘할 수 있는 것을 찾아야 새누리당과 차별화할 수 있다”며 “정치권이 지난 1년간 정치, 이념, 안보 이슈에만 끌려다닌 것은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뿐 아니라 민주당에도 절반의 책임이 있다”고 꼬집었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