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지형이 바뀐다] 20∼30代, 기존 이념·정당 질서 재편 진행

입력 2014-01-02 01:32


전문가 진단

18대 대선 이후 1년이 지났지만 보수·진보 세력 간 대립은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 진보는 보수의 불통을 지적하고, 보수는 진보의 과거 골몰을 지적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정치권이 나서서 대화를 통한 신뢰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난해 정치권에서 국가정보원개혁특위와 특검, 법안과 예산안 처리가 연계되며 국회 파행이 이어진 것도 이 같은 대결의 결과다. 박원호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1일 “모든 문제를 통으로 묶어 풀려 하니 해결이 안 된다”며 “여러 사안을 개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2011년 치러진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좋은 예라며 “사회적 비용은 들었지만 구체적으로 접근하면 합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정부와 국회의 소통 부재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새누리당 비대위원을 지낸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는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부터 철도노조 파업까지 어느 하나 공론화해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낸 것이 없다”며 “야당의 주장을 100% 들을 수는 없겠지만 들어주려는 자세라도 돼야 타협이 있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박 교수도 “국회도 국정 운영의 중요한 파트너인데 청와대가 가볍게 본다”며 “청와대 경호 지원 요원이 민주당 강기정 의원의 목덜미를 잡은 것은 굉장히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밝혔다. 그는 “여당에서도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에 무시당한다는 의견이 팽배하다”며 “야당 입장에서는 대화 상대인 여당이 청와대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들이 아니니 정쟁에서 물러설 여지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수·진보의 지형 변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박 교수는 “20∼30대에서 경제는 진보, 안보는 보수 성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기존의 이념·정당 질서가 재편되는 것을 목도하고 있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젊은 세대에게서 자신의 이익을 기준으로 이념을 결정하는 성향이 나타난다”며 “과거의 편견과 경험은 치유가 어렵지만 이익은 합리적 접근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