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염성덕] 개인적 책임

입력 2014-01-02 01:3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는 요즘이다. 기업마다 처한 현실이 달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에도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경제적 책임(이윤극대화, 고용창출), 법적 책임(투명한 회계, 성실한 납세, 소비자 권익 보호), 윤리적 책임(윤리경영, 제품안전), 자선적 책임(사회공헌활동)으로 나눈다. 소비자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 예의 주시한다.

사회적 책임에 대비되는 개념이 개인적 책임이다. 국가의 국민으로, 조직의 구성원으로, 가족의 일원으로 지켜야 할 책임을 말한다. 존 F 케네디 미국 35대 대통령은 1961년 취임 연설을 통해 국민의 개인적 책임을 역설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조국이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묻지 말고, 여러분이 조국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자문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 연설은 에이브러햄 링컨 미 16대 대통령의 게티스버그 연설, 마틴 루서 킹 목사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연설과 함께 미국의 3대 명연설로 꼽힌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2014년 신년사에서 독일과 유럽의 전진을 위한 덕목으로 개인적 책임감과 창의력을 강조했다. 그는 신년사를 통해 “국가가 투자해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지만 여러분이 없다면 정치는 작은 것만 성취할 수 있으며, 여러분이 소규모로 성취한 것이 넓은 의미에서 조국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케네디 대통령이나 메르켈 총리는 국민의 개인적 책임을 직설화법으로 거론했다. 자유를 지키고 확대하기 위해 어떤 대가도 치를 것이고, 어떤 부담도 감내할 것이며, 어떤 적대 세력과도 맞서 싸우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한 케네디 대통령의 연설에서는 비장함마저 느껴진다.

여차하면 동서냉전이 열전으로 격화될 수 있는 위기에 직면한 군통수권자의 지상명령 같은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메르켈 총리는 국가 발전이 국민 행복을 견인하기보다는 국민 행복이 국가 융성의 선행조건임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도 새해 신년사에서 국민의 협조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신년사를 통해 비정상적인 관행의 정상화 개혁 추진, 경제 활성화와 민생안정에 역량 집중, 확고한 안보태세 확립, 평화통일을 위한 기반 구축 등 집권 2년차의 각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국민 여러분께서도 새해, 새로운 변화의 미래를 열어 가는 길에 함께 해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산적한 현안을 해결하려면 국민의 도움이 절실하다. 이는 만고의 진리다.

염성덕 논설위원 sdyu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