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14 지방선거] “힘 실어주세요” VS “심판해주세요”… 지방 승리, 총선·대선까지 간다

입력 2014-01-01 01:31


오는 6월 여야(與野) 간·야야(野野) 간 사활을 건 한판 승부가 펼쳐진다.

이번 지방선거는 박근혜정부 중·후반기의 정국을 좌우할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특히 내년에는 전국 단위 선거가 없어 이번 지방선거 결과가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선거를 통해 광역단체장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773명, 기초의원 2876명, 시·도교육감 17명을 동시에 선출한다.

◇여야 간 혈투=여야 모두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새누리당은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방선거 완승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권력 누수를 막고 안정적인 국정운영 기반의 토대를 다지겠다는 의도다. 또 지방선거에서 승리해 행정·의회권력에 이어 지방권력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야권의 분열이 예상되는 것도 엄청난 호재다.

새누리당은 지방선거 승리를 발판으로 민생살리기·경제활성화·일자리 창출 등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다. 야권의 불필요한 정쟁을 사전에 차단하고 민생을 위한 정치에 주력하겠다는 포석이다.

대선 불복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도 이번 지방선거가 중요하다.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둬 지난 대선 승리가 민심의 선택이었음을 확고히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지방선거 결과는 새누리당 내부의 역학관계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새누리당이 압승하면 친박 주류 중심의 당 운영이 더욱 공고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위기의 모습이 연출될 경우 청와대와 친박 주류에 대항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수 있다.

민주당과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추진하는 신당은 박근혜정부 심판론을 전면에 부각시켜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겠다는 전략이다. 박근혜정부 중간평가인 이번 지방선거에서 승리해 여권의 기세를 반드시 꺾어 놓겠다는 투지가 강하다. 이를 기반으로 2016년 총선에서 다수당 위치를 탈환하고 2017년 대선까지 바람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한 특검 주장을 굽히지 않으며 여권을 압박할 방침이다. 또 박근혜정부의 공안통치적 요소와 불통 등 약점도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야야 간 혈투=‘안철수 신당’의 등장에 따른 야권 분열 또는 야권 분화가 이번 지방선거의 가장 큰 특징이다.

야권의 선거구도는 아직까지 오리무중이다. ‘신야권통합’이라는 큰 깃발 속에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이 후보 단일화를 이뤄 ‘새누리당 대(對) 범야권연대’라는 익숙한 프레임을 유지할지, 안철수 신당이 독자세력으로 등장해 3자 구도로 지방선거를 치를지는 확실치 않다. 수도권 등 제한된 지역에 한해 선거연합을 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안철수 신당은 야권 분열의 비판을 받더라도 범야권연대를 하지 않고 독자후보를 내세울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3자 구도 가능성이 더 높다. 야권 분열로 수도권 등 격전지에서 패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강력한 후폭풍이 예상된다.

야권의 텃밭인 호남에서는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 간의 물러설 수 없는 한판 승부가 펼쳐질 것이라는 데 이견은 없다. 야권의 대표성을 놓고 벌이는 혈투가 될 전망이다.

민주당으로선 호남이 흔들릴 경우 당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안철수 신당이 호남에서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경우 안 의원의 ‘새 정치’는 시작부터 난관에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논의 중인 기초단체장·기초의원 정당 공천 폐지 여부도 변수다. 민주당은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를 당론으로 결정했다. 민주당은 2010년 지방선거에서 승리했기 때문에 정당공천을 폐지하더라도 현역 프리미엄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하지만 안철수 신당 후보들은 정당공천제가 없어질 경우 ‘안철수 브랜드’를 활용하는 데 한계가 예상된다.

하윤해 임성수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