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14 지방선거] 민주당, 安신당과 ‘따로 또 같이’ 묘수찾기

입력 2014-01-01 01:34

민주당의 지방선거 전략은 ‘단일화’를 하느냐 못 하느냐에서 출발한다. 민주당은 2012년 치러진 총선과 대선에서 야권 단일화 전략을 내세웠으나 연거푸 패했다. 기계적 단일화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많은 이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권연대 없이 승리가 가능하겠느냐는 현실론이 만만치 않아 다양한 경우의 수가 마련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과 박근혜정부 1년에 대한 정권심판 구도로 이끌겠다는 복안이다. 정당 지지율이 새누리당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황에서 정권심판론 말고는 뾰족한 대안이 없다. 정권심판론을 바탕으로 중도층을 아우르는 안철수 신당과 야권 연대를 결성하면 승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현재로선 무소속 안철수 의원 측이 “가능한 모든 지역에서 독자 후보를 내겠다” “야권 분열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안철수 신당 정당 지지율이 새누리당에 필적하고, 민주당을 2∼3배 앞서는 것도 이런 자신감을 뒷받침하고 있다.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중심의 야권 구도를 깨고, 제3당으로 확실히 자리잡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때문에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이 새누리당과 3자 구도로 지방선거를 치르는 일이 현실화될 수 있다. 3자 구도가 유지될 경우 민주당은 기존 지지층을 붙잡고, 중도 무당파를 데려올 수 있는 민생 이슈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새누리당에는 정권심판론으로, 안철수 신당에는 야권 맏형론으로 대응하는 양동 작전이다.

안철수 신당은 지지율이 높지만 전국적 선거 경험이 없고 인재 영입이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 경쟁력 있고, 상징성이 큰 지역에 선별적으로 후보를 내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사할 가능성이 높다. 신당이 적절히 선택과 집중을 하는 과정에서 소극적인 야권 연대가 이뤄질 수도 있다. 내부 충돌로 수도권 등 경합 지역을 모조리 여권에 내주는 최악의 결과는 양측 모두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1987년 대선에서 김영삼(YS)·김대중(DJ) 단일화 실패가 불러왔던 후폭풍을 피하면서 민주당과 신당이 함께 생존할 수 있는 묘수 찾기가 새해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