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파업 22일 만에 철회] 노동계 ‘대화’ 복귀 오랜 시간 걸릴 듯

입력 2013-12-31 02:40

철도노조 파업이 끝났지만 노동계가 다시 대화 테이블로 돌아오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대정부 투쟁을 지속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여기에 철도노조 내부에서 지도부의 파업 철회가 일방적으로 결정됐다며 반발하는 기류마저 형성되고 있다.

민주노총은 30일 성명을 내고 “철도노조 파업 철회와 관계없이 민주노총 총파업 투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오전 긴급투쟁본부 대표자회의를 열어 ‘투쟁 지속’ 입장을 결정했다. 민주노총 신승철 위원장은 “국회 철도발전소위원회 논의가 철도 분할 민영화를 저지할 수 있도록 투쟁을 중단 없이 이어가겠다”며 “철도노조의 현장 복귀와 무관하게 다음 달 4일 전국 동시다발 결의대회, 9일 2차 총파업, 11일 2차 시민행동의 날, 16일 3차 총파업, 2월 25일 국민총파업 등 확정된 투쟁 일정을 계획대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국노총도 민주노총 강제 진입을 노동계 전체에 대한 도발로 간주하고 공식 사과와 책임자 처벌 없이는 대화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국노총 강훈중 대변인은 “노사정위 재참여는 내부 결의가 필요한 사안이지만 현재로서는 지금 기조를 유지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철도노조 내부 기류도 심상치 않다. 파업 철회가 내부 논의 없이 결정된 정황이 나오면서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강·온파 대립 조짐도 감지된다. 철도노조 백성곤 홍보팀장은 브리핑에서 “현재 지역본부·지부 소속 간부와 노조원 의견을 수렴 중”이라면서도 “의견 수렴 과정에서 나온 반응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파업 철회에 반대하는 측은 ‘징계 최소화 약속’ 등 안전장치 없이 무방비로 파업을 풀었다고 비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철도노조의 한 조합원은 “이대로 복귀하면 사측이 징계를 남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도 “파업 철회는 노조가 결정해야 하는데 정치권이 결정한 것 같아 주객이 전도됐다”면서 “바라보는 국민이나 조합원들이 납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