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파업 4주째] 변곡점 맞은 정부·노조, 치열한 여론전(2)

입력 2013-12-30 02:29

철도노조 파업이 21일째에 접어들면서 정부와 철도노조는 각각 여론의 지지를 얻기 위한 대국민 호소에 주력했다. 정부와 노조는 각각 홈페이지를 통해 철도의 비효율성과 파업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정부와 사측은 파업으로 인해 초래된 국민 불편을, 노조는 헌법에 보장된 노동쟁의권을 내세우며 승기를 잡기 위해 각각 여론에 호소하고 나섰다.

노조 ‘아빠 어디가’ 동영상으로 정당성 호소

철도노조 최은철 사무처장 겸 대변인은 29일 은신 중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직권면직은 공무원에 적용되는 규정”이라며 “필수공익 사업장은 노동쟁의권을 상당 부분 제한하고 있는데 직권면직까지 법률로 정하는 것은 노동기본권을 명시한 헌법 가치에 어긋난다”고 반발했다.

이에 앞서 김명환 위원장은 지난 28일 기자회견을 갖고 “수서발 KTX 법인 면허 발급은 국민에 대한 선전포고”라며 “즉각 무효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김 위원장은 “면허 발급을 즉각 취소하지 않으면 해를 넘겨 중단 없는 총파업 투쟁을 벌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필수공익사업장 파업 참가자에 대해 직권면직토록 하는 법안을 검토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서는 ‘위헌’이라며 반발했다.

노조는 홈페이지에 ‘아빠 어디가’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게시해 여론에 파업의 정당성을 호소하기도 했다. 이 영상은 한 가정의 가장이 직장 대신 파업 현장으로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로 ‘민영화 저지’를 꼽는다. 노조는 영상에서 “철도를 지키는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지지해 달라”며 “열차가 멈추는 불편을 조금만 참아주시면 철도민영화, 꼭 막겠습니다”라고 국민들에게 호소했다.

한편 경찰은 체포영장이 발부된 철도노조 대구지부 간부 황모(46)씨를 검거하고 지도부 6명에 대한 체포영장을 추가로 발급받아 검거에 나섰다. 29일 기준 검거된 노조 간부는 모두 3명이고 31명이 수배 상태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