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 지지율 낮으면 막말로 보태주는 민주당

입력 2013-12-30 01:36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한 민주당 의원의 ‘암살’ 표현과 대선 보궐선거 실시 주장으로 정치권이 요동친 것이 3주 전이다. 새누리당이 발언 당사자 2명에 대한 국회의원 제명안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출해 그 여파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당시 의원총회에서 새누리당의 조치가 과하다고 비판하면서 동시에 “추후 당의 이해와 배치되는 언행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임할 것”이라며 발언에 신중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두 의원의 ‘설화’가 당에도 도움이 안 된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그러나 제 버릇 남 못 준다고 했던가. 이번엔 수서발 KTX 법인 철도운송사업 면허 발급과 관련된 민주당 부대변인 논평을 놓고 정치권이 소란하다. 허영일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대화는 없고 ‘면허 발급’만 있는 대통령의 앞날이 험난하다. 국민이 발부한 ‘면허증’ 대통령의 권한을 함부로 행사하다가는 벌점 누적으로 면허증이 취소될 수도 있는 사태가 올 수도 있다”고 비판했다. 쉽게 얘기하면, 파업 중인 철도노조를 비롯해 반대세력에 계속 강공으로 맞대응하면 대통령직에서 쫓겨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번 면허 발급은 자신의 뜻을 따르지 않는 국민은 모두 해고하겠다는 ‘숙청정치’의 신호탄”이라고도 했다. 이에 새누리당은 사과하라고 발끈했다.

철도 파업 등 민감한 현안을 놓고 여야 대립이 극심해지면 종종 막말과 폭언이 등장하곤 한다. 이성보다 감정에 치우친 결과다. 하지만 언어가 품격을 상실하면 그 말을 내뱉은 장본인과 소속 정당이 화를 입기 마련이다. 이번에도 민주당에 결코 득이 될 것 같지 않다. 수서발 KTX 사업 면허 발급에 빗대 ‘대통령 면허증’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건 유치하다. 또 제1야당이 ‘숙청정치’ 운운하며 국민 불안을 조장해 뭘 어쩌자는 건가.

정치의 존재 이유 중 하나가 사회갈등의 해소다. 철도 파업 사태와 관련해 청와대 입장만 대변하는 새누리당도 문제이지만, 철도노조만을 두둔하는 민주당 또한 볼썽사납다. 김대중·노무현정부 때 철도 민영화를 추진했던 사실을 벌써 잊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