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의 남수단] 정부 “추가 파병 검토하지 않고 있다”

입력 2013-12-26 03:17

남수단 정정(政情)이 갈수록 불안해지면서 국군 한빛부대의 추가 파병 및 철군 문제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추가 파병은 공병 위주인 한빛부대의 안전을 위해 전투요원들을 보강하자는 것이다. 특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4일(현지시간) 전체회의를 열어 남수단에서 대량학살 사태가 확산될 수 있다며 현지에 파견된 유엔평화유지군을 5500명 늘리기로 결정하면서 추가 파병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정부는 현재 추가 파병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유엔에서 추진하는 것은 기존 유엔평화유지군을 재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와는 무관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한빛부대는 지난 23일 국회에서 유엔 남수단임무단(UNMISS) 파견·연장 동의안이 통과됨에 따라 내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 더 주둔하게 된다. 하지만 유엔 평화유지활동참여법에 따라 우리 측이 필요할 경우 파견기간 종료 이전이라도 철수할 수 있다. 반군이 한빛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유엔 기지를 공격한다면 정부는 철수를 심각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25일 “현재로선 철군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 “철군은 상황이 심각하게 악화될 경우에나 검토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한빛부대 파견 연장을 추진하면서 남수단 반군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손인춘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파견연장 동의요구안 제출 당시 남수단 사태에 대한 보고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성석호 수석전문위원도 지난 11월 국군부대 파견연장 동의안 검토보고서에서 “한빛부대가 주둔지에 파견된 이후 특별한 교전이나 사건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바 파견 부대원의 안전에 대한 위험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빛부대 주둔지로부터 180㎞ 떨어진 지역에서 지난 3월과 4월 인도군 6명이 피격을 당해 부상을 당한 사건이 발생했었다.



김재중 유동근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