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힘 세진 국가안보실… 1차장 자리 누가 오나
입력 2013-12-26 01:28
박근혜 대통령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활성화 구상에 따라 확대 개편되는 청와대 국가안보실 구성에 정·관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히 관심을 끄는 대목은 신설되는 안보실 1차장 직이다. 누가 이 자리에 오르느냐에 따라 박근혜정부 외교안보라인 전체의 색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번에도 군 출신 인사가 기용될 경우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김관진 국방부 장관, 남재준 국가정보원장 등 전직 군인 득세 현상이 더 두드러지게 된다. 청와대는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인선작업에 신중을 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가에서는 “적어도 안보실 1차장 자리는 국방을 넘어 국가안보 전체의 큰 그림을 그릴 줄 아는 전략적 마인드를 지닌 직업 외교관 출신이 맡아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가장 먼저 적임자로 거론되는 인사는 김숙 전 유엔대사다. 김 전 대사는 노무현정부에서 외교부 북미국장을 지냈고, 이명박정부에선 북핵 6자회담 우리 측 수석대표, 국가정보원 1차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12월 북한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와 올해 초 3차 핵실험 당시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 도출에 상당한 역할을 했다. 경력만 봐도 외교·안보 현안을 두루 다룰 줄 아는 인물이란 평가를 받는다.
김규현 현 외교부 1차관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북미1과장·북미국장·북미국 심의관을 거친 외교부 내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2007년 노무현정부 당시 국방부 국제협력관으로 일한 특이한 이력을 지니고 있다. 당시 한·미 간 국방 및 안보 업무를 도맡았던 그를 국방부로 부른 사람이 바로 김 실장이다. 당시 국방부 장관이던 김 실장과는 긴밀한 인연이 쌓인 셈이다.
하지만 김 차관이 자리를 옮기면 외교부 내 줄줄이 인사이동이 불가피해 청와대로선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밖에 외교관 출신 안보분야 전문가로 꼽히는 인사는 천영우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정도다. 군 장성들도 감탄할 만큼 국방 전략에 능하고, 북한 장거리 미사일 세부기술 스펙까지 줄줄 외울 정도로 전문가라는 소릴 듣는다. 그러나 ‘이명박정부 사람’으로, 지나치게 대북 강경파라는 점에서 새 정부 주요 직책에 기용되진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관계 일각에선 학자 출신 기용설도 제기된다. 정통 관료로 채워진 국가안보실에서 폭넓은 식견과 새로운 시각으로 대북·대미·대중·대일 전략을 조망할 ‘신선한 피’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