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지방선거 승리 위해선 미리 충청대표 체제로 가야” 새누리 충청發 조기전대론

입력 2013-12-25 02:34

새누리당 충청 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조기전대론’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이들은 내년 지방선거 요충지가 수도권과 충청권인 만큼 이 지역을 대표하는 체제가 들어서도록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충청대표론’에 근거하고 있다.

한 충청지역 의원은 24일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내년 3∼4월 전당대회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황우여 대표 임기가 내년 5월까지인 만큼 늦어도 1∼2개월 전에 후임자를 선출해야 한다”며 “대통령도 임기 전에 뽑듯 이는 ‘조기전대’가 아닌 ‘적기전대’”라고 주장했다. 또 “(지방)선거는 유권자에게 비전과 약속을 전달하고 심판받는 것이기 때문에 바뀔 체제로 치르는 것은 국민에 대한 기만”이라고 덧붙였다.

지방선거 직전이 충청대표론이 먹힐 수 있는 적기라는 분석이 배경으로 거론된다. 다른 충청지역 의원은 “선거 이후는 결과에 따라 책임론이 주요 이슈가 될 수 있고, 2016년 총선 공천권을 노리는 사심에 입각한 전대가 될 공산이 크다”며 지방선거 직전을 전대의 적기로 꼽았다.

조기전대를 현실화시킬 경우 대표 후보로는 이완구(충남 부여·청양), 이인제(충남 논산·계룡) 의원과 정우택 최고위원(충북 청주·상당) 등이 거론된다. 다른 충청지역 의원은 통화에서 “대전·충남북·세종시의 시도당위원이 상시로 모여 회의를 가동하고 있는데 지난 대선의 기여도와 지역 인지도 등을 고려해 추대할 만한 후보를 고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충청 지역 의원들이 합심하게 된 다른 배경에는 조기전대를 치러야만 지역 후보가 권력 공백을 비집고 들어가 당선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충청권 출신 서청원 전 대표가 당권 도전 시점을 지방선거 뒤로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지방선거 이후에는 김무성 의원과 친박 실세인 최경환 원내대표 등도 당권가도에 가세할 수 있어 충청권이 영향력을 발휘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기전대가 현실화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는 것이 당내 공통된 관측이다.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한 의원 관계자는 “지방선거 후에 전대를 개최해야 한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면서 “단순히 충청대표론보다는 당을 책임지고 지방선거를 승리하기 위해서도 조기전대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어떻게 형성하느냐가 문제”라고 말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