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권력 민주노총 진입 후폭풍] 與 ‘민영화 怪談’ 차단 나섰다
입력 2013-12-25 02:33
서울∼부산 KTX요금 28만원, 지하철요금 5000원 돈 없는 서민들 KTX 꼬리칸에 타게 될 것이라고?
새누리당은 24일 철도 민영화 주장을 양치기 소년에 비유한 ‘늑대가 나타났다’는 제목의 긴급 당보 12만여부를 제작해 전국 당협위원회에 배포했다. 근거 없는 루머 확산을 막고 철도파업과 관련한 여론전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의도다. 새누리당은 또 김대중·노무현정부에서 철도 개혁이 시작됐음을 강조하며 역공을 가했다.
현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서는 ‘대기업과 외국 자본이 코레일의 자회사를 만들어 흑자노선만을 가진 뒤 나중에 민영화를 시켜 알짜를 다 가지려 한다’ ‘서울∼부산 간 KTX 요금이 민영화된 영국처럼 철도요금이 28만원으로 오를 것’ ‘지하철 요금이 5000원으로 인상될 것’ ‘돈 없는 서민들은 KTX 꼬리칸에 타게 될 것’이라는 등의 루머가 퍼졌다.
민영화 괴담 확산이 위험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새누리당은 긴급 당보를 제작하며 진화에 나섰다. 당보에서 “광우병 괴담, 천안함 괴담, 이젠 민영화 괴담”이라고 주장한 뒤 “새누리당은 허위 선동에 맞서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당보는 “늑대가 나타났다고 소리치긴 쉽다. 그러나 늑대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은 어렵고, 지루하고, 힘들다”고 현 상황을 묘사했다. 이어 “국토교통부 장관도 수서발 KTX 자회사를 민간에 매각하는 경우 면허를 취소하겠다고 해 사실상 민영화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하면서 철도노조와 야권의 민영화 주장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특히 경찰의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 방식을 비판한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노무현정부 민정수석으로 근무했던 2003년 경찰 조기 투입을 주장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던 점을 상기시키면서 “말 바꾸기”라고 비난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김대중정부가 철도 민영화를 가장 먼저 시작했고 노무현정부에서 철도청을 철도공사로 전환했다”면서 “불과 몇 년 사이 입장을 180도 바꾸고 노조에 부화뇌동하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노무현정부는 철도파업 초기부터 공권력을 투입해 나흘 만에 파업을 해산시키고 노조원 1500여명을 연행했다”고 지적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