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지도부 일부 조계사에 은신한 듯
입력 2013-12-25 01:53 수정 2013-12-25 10:01
경찰의 강제진압 전 민주노총 본부에서 몸을 피한 철도노조 지도부가 서울 견지동 조계사에 피신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또 철도노조 지도부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 등)로 김정훈(50)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은 박태만 철도노조 수석부위원장 등 철도노조 지도부 일부가 24일 오후 조계사로 잠입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수사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날 오후 철도노조 관계자 등 4명을 태운 차량이 조계사 경내로 들어갔다는 첩보를 입수했다”며 “첩보 내용이 구체적이어서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조계사 일대에 1개 중대 100여명의 경찰을 투입해 검문검색을 강화하고 있다. 경찰이 조계사에 경찰력을 투입한 건 1995년 한국통신 노조 파업과 1998년 현대중기산업, 2002년 발전노조 사태를 포함해 세 차례였다.
이와 관련, 경찰은 지난 22일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옥에 위치한 민주노총 본부 강제 진입 과정에서 연행한 전교조 김 위원장에 대한 구속수사 방침을 확정했다. 김 위원장은 1층 유리 출입문을 깨고 진입 대열을 정비하는 경찰을 향해 바닥의 유리조각을 주워 던진 혐의를 받고 있다. 그가 던진 유리조각에 맞은 경찰관은 눈 부위에 길이 1.5㎝ 상처를 입어 5바늘을 꿰매야 했다고 경찰은 밝혔다. 영장실질심사는 25일 오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다.
이날 연행된 138명 가운데 김 위원장을 제외한 137명은 풀려났다. 다만 검찰은 석방자 중 시위를 주도한 민주노총 간부 3명에 대해 보강 수사를 지시했다. 경찰은 이들의 혐의가 확인되면 추가로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이 김 위원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자 전교조는 오전 11시30분 경향신문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 위원장 석방을 촉구했다. 하영수 전교조 대변인은 “위원장 구속은 법외노조 통보와 서버 압수수색 등 전교조 탄압의 연장선”이라며 “불법 침탈의 책임을 전교조에 떠넘긴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각계의 규탄 성명도 잇따랐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와 전국교수노동조합 등 교수단체는 오전 10시 같은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공권력 남용을 비판했다. 교수노조 노중기 부위원장은 “민주노총 침탈은 사상 초유의 일”이라며 “1987년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기초가 무너진 중대한 사태”라고 말했다. 전태일재단은 오후 2시 서울 청계천 전태일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정부가 전태일 열사의 분신과도 같은 민주노총을 침탈했다”고 비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