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가 나타났다”···광우병 괴담, 천안함 괴담, 이젠 민영화 괴담으로
입력 2013-12-24 17:34 수정 2013-12-25 01:27
[쿠키 정치] 새누리당은 24일 철도민영화 주장을 양치기 소년에 비유한 ‘늑대가 나타났다’는 제목의 긴급 당보 12만여부를 제작해 전국 당협의원회에 배포했다.
근거 없는 루머 확산을 막고 여론전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의도다. 또 김대중·노무현정부에서 철도개혁이 시작됐음을 강조하며 역공을 가했다.
새누리당은 긴급 당보에서 “광우병 괴담, 천안함 괴담, 이젠 민영화 괴담”이라고 주장한 뒤 “새누리당은 허위 선동에 맞서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당보는 “늑대가 나타났다고 소리치긴 쉽다. 그러나 늑대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은 어렵고, 지루하고, 힘들다”라고 현 상황을 묘사했다. 이어 “국토교통부 장관도 수서발 KTX 자회사를 민간에 매각하는 경우 면허를 취소하겠다고 해 사실상 민영화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하면서 철도노조와 야권의 민영화 주장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또 코레일의 방만 경영 사례를 지적하며 “철도가 철밥통을 위해 멈춰야 하나”라고 되물었다.
새누리당은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특히 경찰의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 방식을 비판한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3년 경찰의 조기 투입을 주장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던 점을 상기시키면서 “말 바꾸기”라고 비난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김대중정부가 철도 민영화를 가장 먼저 시작했고 노무현정부에서 철도청을 철도공사로 전환했다”면서 “불과 몇 년 사이 입장을 180도 바꾸고 노조에 부화뇌동하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노무현정부는 철도파업 초기부터 공권력을 투입해 나흘 만에 파업을 해산시키고 노조원 1500여명을 연행했다”고 말했다.
문 의원이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던 사실을 거론하며 “문 의원은 당시 ‘철도파업은 대화와 타협의 소지가 전혀 없고 조기 경찰력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고 지적했다.
국회 환경노동위 새누리당 간사인 김성태 의원은 “대통령과 정부의 말을 믿지 못한다면 국회가 나서겠다”면서 “철도 노사와 장관을 국회에 출석시켜 민영화를 하지 않겠다는 국민적 담보를 확보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