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 국제 카르텔 적발… 덴소·보쉬 등 5개사에 과징금 1146억원 부과
입력 2013-12-24 01:34
현대·기아차에 납품하는 일본과 독일의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수년간 계량장치(속도와 엔진회전수, 연료잔량을 나타내는 장치)와 와이퍼 가격을 담합하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강도 높은 제재를 받았다.
공정위는 일본계 부품업체인 덴소그룹 계열사 3곳과 독일계 업체인 콘티넨탈, 보쉬전장 등 5개 업체가 계량장치인 ‘미터’와 와이퍼 가격을 담합한 사실을 적발해 과징금 1146억8000만원을 부과하고 법인을 검찰에 고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과징금은 지난 7월 현대·기아차와 해외 상용트럭업체들이 연루된 담합 과징금 1160억원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덴소와 콘티넨탈은 현대·기아차의 미터 시장에서 지난해 기준 점유율 100%를 차지하고 있으며, 와이퍼 시장의 경우 덴소와 보쉬전장이 점유율 98.4%를 기록하고 있다.
덴소와 콘티넨탈은 2008년 1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현대·기아차가 발주한 쏘나타, 아반떼, 그랜저, 카니발 등 21개 차종의 미터 입찰에서 낙찰예정자를 담합했다. 물량을 수주하기로 합의한 회사가 들러리 회사에게 높은 견적가를 제출해달라고 요청하면 들러리 회사는 약 5% 높은 가격을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덴소와 보쉬전장은 2008년 8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아반떼, 프라이드, 쏘나타 왜건형 등 현대·기아차가 발주한 6개 와이퍼 입찰에서 담합했다. 담합 결과 덴소의 와이퍼 낙찰가격은 프라이드가 8.5%, 쏘나타 왜건형은 5.4% 각각 상승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미터 담합으로만 현대·기아차 차량 약 1100만대(생산예정 차량 포함)와 관련돼 담합 적발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본다”며 “주요국과 공조를 강화해 한국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카르텔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