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 넘긴 철도파업] 한국노총, 파업사태 가세… 노동계 전반으로 전선 확대 양상

입력 2013-12-24 02:36


민주노총의 총파업 선언에 한국노총이 노사정위원회 탈퇴로 화답하면서 철도 파업 사태는 노동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시민·사회·재야단체도 23일 30분 간격으로 릴레이 기자회견을 열며 민주노총 본부에 강제 진입한 경찰과 정부를 성토했다.

이런 상황에서 경찰은 민주노총 강제 진입 과정에서 연행한 김정훈 전교조 위원장 구속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의 핵심 세력 중 하나인 전교조에 대해 현 정부가 법외노조화를 추진한 데 이어 위원장 구속까지 강행할 경우 노동계 반발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민주노총 신승철 위원장은 오전 10시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옥의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폭력적 난입은 용납할 수 없다”며 “권력의 잘못된 행태에 조직적 차원에서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후 4시쯤 한국노총이 노사정위 탈퇴를 선언하자 민주노총은 즉각 환영했다. 정호희 민주노총 대변인은 “같은 노동조합총연합 단체로서 침묵하지 않고 목소리를 내준 것은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하루 전국 지부의 노조 간부 6000명이 동참한 확대간부 파업을 벌였고 오후에는 노조원 3000여명이 경향신문사옥 앞에서 결의대회와 촛불집회를 가졌다.

결의대회에 참석한 이영주 전교조 수석부위원장은 “서울 남대문경찰서가 강제 진입 과정에서 연행한 김 위원장에 대해 24일 구속영장을 신청하겠다고 밝혔다”며 “전교조를 법외노조로 규정한 것도 모자라 이런 식으로 자행하는 노동 탄압을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고 말했다.

참여연대·경실련·YMCA 등은 오전 10시30분 경향신문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는 철도노동자 검거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철도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법률원과 민변 노동위원회 등은 오전 11시 같은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청장·서울지방경찰청장·남대문경찰서장 등을 형사고소하고 국가를 상대로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오전 11시30분에는 통합진보당과 통일문제연구소 등 재야단체가 같은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철도 파업 보름째인 이날 열차운행률은 파업 후 최저 수준인 70%대까지 떨어졌다. 수도권 전동열차 운행률이 85.7%로 낮아지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평상시 하루 355회 운영하던 서울역∼수원역 경부선은 273회, 분당선은 352회에서 293회, 경인선 일반열차는 456회에서 399회로 각각 감축됐다. KTX는 73%,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는 56%와 61.5% 운행률에 머물렀다. 화물열차는 30.1%에 그쳐 물류 수송 차질이 계속됐다.

조성은 김유나 기자, 대전·대구=정재학 최일영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