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시내 판매목적 태양광발전소 급증

입력 2013-12-23 17:41

[쿠키 사회] 올해 서울에서 전력 판매 목적으로 허가를 받은 태양광발전소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올 들어 허가한 태양광발전소는 총 101곳으로 2012년(29곳)보다 3배 이상 늘었다”면서 “이는 지난해까지 허가된 60곳에 비해서도 1.7배 증가한 것”이라고 23일 밝혔다.

시의 허가를 받은 태양광발전소 설비용량은 총 2만1415㎾ 규모이며, 이곳에서는 연간 2만5013㎿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약 650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온실가스 1만1298t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서울의 전력소비량은 4만6903GWh로 전국의 10%를 차지하지만 생산량은 1384GWh로 자급률이 3%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장기적인 에너지 자립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주택·건물·학교 옥상 등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은 시민 참여가 쉬운 사업”이라고 말했다.

특히 시는 올해 태양광발전소 급증에 대해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 활성화 등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했다. 시는 지난 4월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설비용량 50㎾(학교는 100㎾) 이하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자에게 발전량과 연계해 1㎾h 전력 생산 시 5년간 50원을 추가로 지원해주는 ‘서울형 햇빛발전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 지난 9월부터는 발전사업자에 대한 대출이율을 기존 2.5%에서 2%로 인하하고, 대출금도 사업비 총액의 50%에서 60%까지 확대했다. 발전사업 허가 시 관련기관 협의 등 행정절차도 기존 60일에서 25일로 단축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