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서남부권 지진 가능성 높아졌다

입력 2013-12-23 16:31

[쿠키 사회] 전남도는 23일 “전체 22개 시·군 가운데 절반인 11개 지자체의 지진 위험도 등급이 상향 조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소방방재청이 최근 지진 발생 빈도를 반영해 당초 ‘국가지진위험지도’에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2구역’으로 설정했던 전남 서남부 11곳을 ‘1구역’에 새로 포함시켰다는 것이다.

국가지진위험지도는 일반 건축물은 물론 댐, 다리, 터널, 저수지 등의 내진설계에 적용하는 기준으로 소방방재청이 1997년 이 지도를 작성한 이후 위험도 등급을 고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위험도 등급을 2구역에서 1구역으로 올린 것은 지진 발생의 가능성이 종전보다 높아졌다는 의미다. 따라서 11곳의 지자체는 당장 내년 7월부터 해당 지역에 공공건물 등을 신축하려면 강화된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기존 공공건물의 경우 내진시설을 반드시 보강해야 된다.

내진시설을 의무적으로 강화해야 될 해당지역 공공건물은 3729동으로 집계됐다. 다만 민간인이 앞으로 새로 짓거나 소유한 건물의 경우 의무 사항은 아니다.

지진 위험도 등급이 상향된 시·군은 목포·무안·완도·신안·해남·진도·영암·강진·함평·영광·고흥이다.

실제 전남 서남부를 둘러싼 서해에서는 기상청이 지진계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지진 발생이 해마다 잦아지고 있다. 그동안 513건의 해저 지진 가운데 절반이 넘는 264건이 서해에서 발생했다.

도 관계자는 “공공건물의 지진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재정사정이 열악한 시·군에 대한 국비 지원을 정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광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