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 지역경제살리기 운동 산실 우뚝
입력 2013-12-23 14:32
[쿠키 사회] 전북 전주가 ‘지역경제살리기 운동’의 산실로 우뚝 서고 있다. 시민단체들이 ‘대형마트 영업 규제’를 선도해 의무휴업제를 이끌어낸 데 이어 소상인들이 연대해 이웃 가게를 돕자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전주지역 의류상점 200여곳은 최근 각자의 가게 앞에 색다른 현수막과 포스터를 내걸었다. 여기엔 ‘지역경제살리기 캠페인 1탄 - 어때요? 올겨울 크리스마스 케이크는 정겨운 동네 빵집에서’라고 적혀 있다. 대형 프랜차이즈 제과점에 맞서 고군분투하는 ‘동네빵집’을 살리자는 뜻이다.
이들은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에게 대형 제과점 대신 정겹고 맛있는 동네빵집을 이용해 달라고 알리고 있다. 이들은 조만간 2탄으로 ‘연말연시 선물 - 지역상점에서 준비해주세요’라는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다. 참여 대상은 의류점만이 아닌 슈퍼와 잡화점, 음식점, 커피숍 등으로 확대된다.
이들은 “업종이 다른 매장이지만 중소 상인들이 서로에게 손을 내밀고 대형 자본에 맞서 골목상권을 보호하자며 함께 손을 맞잡았다”고 말했다.
앞서 전주는 ‘대형마트와 SSM(기업형 슈퍼마켓)의 월 2회 의무휴업’을 제도화하는 터전이 됐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2007년 2월 ‘대형마트 영업 규제’를 주제로 한 토론회를 열고 이 문제를 전국화하는 불씨를 지폈다. 날로 침체돼 가는 지역상권을 보살피자는 의도였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의 노력과 더불어 전주시의회 조지훈 의원이 이마트 전주점 앞에서 104일간 농성하는 등 공감대가 확산돼 마침내 유통산업발전법이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전주시가 전국서 처음으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대형마트 의무휴업을 정착시켰다.
이와 함께 전주지역 중소상인들은 2년째 덕진동 종합경기장터에 롯데쇼핑타운이 건립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들은 6만3700여㎡ 부지에 쇼핑시설과 호텔 등이 들어서면 전주는 물론 익산과 군산, 김제 등지의 중소상권이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의 연대로 전주시는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이를 추진하지 않기로 한발 물러난 상태다.
이창엽(48)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사무국장은 23일 “시민단체와 상인들의 노력은 모두 동네상권을 살리고 지역경제를 선순환시키려는 노력”이라며 “모두 적잖은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전주=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