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적자에 高물가… 아르헨·브라질 경제난 신음

입력 2013-12-23 01:29


남미의 경제난이 심각한 지경으로 치닫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지만 공무원 월급도 주기 벅찰 지경이고, 브라질은 물가 상승으로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있는 코리엔테스주(州)의 리카르도 콜롬비 주지사는 21일(현지시간) “연방 정부가 재정지원을 하지 않으면 공무원 월급을 지급하기도 힘들다”며 “내년 3월쯤 지방채를 발행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고 브라질 일간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가 보도했다. 그는 공무원 월급뿐 아니라 부채 상환을 위해 이미 지방채 발행 계획을 세웠다고 전했다.

다른 주도 비슷한 상황이다. 민간 컨설팅 업체들은 주정부의 재정적자가 2011년 24억 달러(약 2조5464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44억 달러(약 4조6684억원)까지 83% 정도 늘어난 것으로 추산했다. 아르헨티나 국내총생산(GDP)의 1% 수준이다. 연방정부가 주정부의 요청에도 긴축을 앞세워 예산지원을 하지 않으면서 파산 위기를 맞는 주정부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아르헨티나 북부의 비알레트 마세시 주는 직원들에게 추첨으로 월급을 주기도 했다.

해외 투자를 유치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외채 잔액이 너무 많고, 정부가 반(反)시장 정책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아르헨티나의 국가 위험도를 최하 등급인 7등급으로 분류하고 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 9월 신용등급을 ‘CCC+’로 강등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도 각국 투자환경 위험 수준을 평가한 보고서에서 아르헨티나에 대한 위험 수준을 ‘매우 높음’으로 분류했다.

브라질 경제에 대한 경고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브라질은 2010년 7.6% 성장한 뒤 2011년 2.8%로 주저앉았고, 지난해 성장률은 0.9%에 머물렀다. ‘지나친 낙관론자’인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최근에서야 4% 성장 전망을 접었다.

급격한 물가상승세가 경기를 발목 잡는 주요 원인이다. 지난해 7월 이후 물가는 지속적으로 올라 올해 3월 6.59%를 기록하면서 중앙은행의 물가 목표치 상한선(6.5%)을 넘어섰다. 브라질 기준 금리는 올해 들어서만 6차례 인상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인 10%다. 전문가들은 물가를 잡기 위해 내년 1월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짐 오닐 골드만삭스자산운용 대표는 최근 “브라질이 이른 시일 안에 강한 성장세를 회복하지 못하면 브릭스(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지위 자체가 흔들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올해 1∼11월 신규고용은 2003년 111만6000명 이후 가장 적은 154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내년 6월 열리는 월드컵이 브라질에 엄청난 경제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일부 견해를 반박하는 주장도 나왔다. 세계적인 회계법인 ‘언스트앤영’은 이달 초 브라질이 월드컵 효과를 지나치게 부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20일 월드컵 개최가 결정된 2007년부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올림픽이 끝나고 7년 뒤인 2023년까지 두 스포츠 행사가 국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내놓으며 물가 급등을 경고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