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회생 12월 26일 판가름

입력 2013-12-23 01:32

쌍용건설이 법정관리로 갈지, 정상화로 갈지를 결정할 ‘운명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쌍용건설이 협력업체 등에 지급할 대금은 이달 중 나갈 1000억원을 포함해 총 3000억원 규모다. 채권단 자금 지원이 없으면 1400여개 협력업체의 잇단 도산이 불가피하다.

우리은행은 이번 주 초반에 쌍용건설 추가 정상화 방안을 채권단회의에 올릴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우리은행은 당초 5000억원 출자전환 및 신규 자금 지원 방안에 대해 채권단이 20일까지 결의해달라고 요청했었다. 하지만 군인공제회와 추가 협상을 이유로 이를 보류했었다. 군인공제회는 쌍용건설에서 받을 돈 1235억원 중 원금 850억원을 연내 400억원, 내년 450억원으로 나눠서 받고 이자는 2015년 말까지 이자율을 낮춰서 받겠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은 군인공제회와의 추가 협상 결과를 반영한 새로운 안건을 준비 중이다. 채권단의 지원 결의가 26일까지 이뤄지지 않으면 쌍용건설의 법정관리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건설업계에서는 채권단이 쌍용건설 지원에 부정적이라 법정관리를 피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다만 국내 시공능력 평가순위 16위이자 해외에서 명성을 쌓아온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파장이 상당하기 때문에 채권단이 쉽게 버리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협력업체 연쇄 도산은 물론 해외 공사가 전면 중단돼 국가 신인도에도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 쌍용건설은 현재 8개국에서 16개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1조2000억원 규모의 카타르 도하 지하철 공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