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탄생과 돈] 열린우리당 불법자금 의혹 수사… 국민통합21·창조한국당도 뒷말

입력 2013-12-21 02:42


정당 창당의 역사는 돈과 뒷말이 난무하는 ‘흑(黑)역사’를 동반해 왔다. 돈 먹는 하마로 불린 지구당이 많았던 과거에는 불법 창당 자금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2002년 대선 당시 ‘국민통합21’ 정몽준 후보의 경우 창당 및 선거자금으로 200억원이 들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논란이 계속되자 국민통합21은 창당 비용으로 두 달간 16억2100만원을 썼다고 공개했다. 당시 밝힌 주요 항목은 사무실 임대보증금 7억8600만원, 조직운영비 4억3400만원, 사무실 운영비 3억3500만원이었다. 그러나 자금 출처에 대한 속시원한 해명은 아니었다.

노무현정부 시절 정치 개혁을 기치로 내걸었던 열린우리당도 2003년 창당 당시 뒷말이 무성했다. 당시 한나라당은 “열린우리당이 창당 100여일간 86억원을 썼다”며 불법자금 유입설을 강력히 제기했다. 이에 열린우리당은 한 달간 당비 13억원을 사용했다며 내역을 공개했다.

하지만 2004년 롯데그룹의 불법자금 2억원이 열린우리당 당사 임대보증금에 사용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검찰 수사를 받았다. 당 의장이었던 민주당 정동영 상임고문은 당시 “몰랐다고 해서 책임을 면할 수 없는 만큼 국민에 무릎 꿇고 사죄하고 반성한다”며 문제가 된 2억원을 서울중앙지법에 공탁했다.

18대 총선에서 약진했던 친박연대와 창조한국당도 공천헌금을 받은 사실이 뒤늦게 탄로나 줄줄이 법정에 섰다. 14명의 당선자를 배출하며 세를 과시했던 친박연대는 비례대표 1번으로 최연소 당선된 양정례 전 의원으로부터 공천대가로 17억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고 당시 서청원 공동대표와 양 전 의원은 실형을 선고받았다. 17대 대선에 출마했던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표는 비례대표 후보 추천을 대가로 이한정 전 의원에게 당채(黨債) 매입비용 6억원을 받았다가 의원직을 상실했다.

1000억원대 창당 자금설도 있다. 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은 2004년 펴낸 자서전에서 1992년 대선 전 민자당 탈당을 결심할 무렵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이 자신을 찾아와 “현찰 1000억원을 줄 테니 신당 창당을 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거절했다는 비화를 전하기도 했다.

‘3김 시대’에는 창당에 수백억원이 필요했다는 게 정설이다. 민주당 한 중진 의원은 20일 국민일보와 만나 “그 시절 당의 구심점인 당수는 곧 돈을 쥐고 있는 사람이었다”며 “창당이든 운영이든 결국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자금을 끌어와 나눠주는 것이 핵심”이었다고 회고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