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검장급 승진 검사장 3명 모두 공안통 논란
입력 2013-12-21 01:49
지난 19일 단행된 검찰 고위 간부 인사에서 고검장급으로 승진한 검사장 3명은 모두 ‘공안 분야’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황교안 법무부 장관 등 검찰 인사 결정 라인이 ‘공안통’ 검사 출신들이다 보니 일종의 ‘사상 검증’을 통과한 이들을 낙점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수남(54·사법연수원 16기) 신임 서울중앙지검장은 지난 4월 인사 당시 연수원 16기 동기 5명과 후배인 17기 2명이 고검장으로 승진할 때 고배를 마셨다. 이후 수원지검장 자리에 그대로 유임되면서 승진이 어려울 것 같다는 전망이 많았다. 김 지검장은 ‘특수통’으로 분류되지만, 공안 분야인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 ‘내란음모’ 사건 수사를 진두지휘했다. 수원지검은 이 의원 등 지하조직 ‘RO’ 조직원 7명을 기소했다. 김 지검장은 지난 9월 26일 수사 결과 발표 때는 검사장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직접 전국으로 생중계되는 TV 카메라 앞에 서서 발표문을 낭독했다. 검찰 안팎에서는 김 지검장이 검찰 내 실질적 서열 2위인 서울중앙지검장에 오르는 반전에 성공한 데는 ‘이석기 수사 효과’를 봤다는 평가도 있다.
광주고검장으로 발령 난 조성욱(51·17기) 서울서부지검장은 최근까지 철도파업 수사를 주도했다. 총괄은 대검 공안부가 담당하지만, 현장 지휘부 역할은 서울서부지검이 맡고 있다. 검찰은 철도파업에 대해 강경 대응 방침을 정하고 노조 지휘부 25명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검거에 나선 상태다. 철도 노조 관련 사건은 노조 사무실이 관내에 있는 서울서부지검이 통상 수사해 왔다. 조 지검장은 노사 문제가 첨예한 울산에서 2003년 부장검사를 지내기도 했다.
김희관(50·17기) 신임 대전고검장은 ‘호남 몫’으로 승진 대상이 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 역시 대검 공안기획관, 서울중앙지검 2차장을 지내는 등 공안통으로 분류된다. 부산지검장 재직 때인 지난 9월 한진중공업 불법 농성 혐의로 당시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 등 41명을 기소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