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철도노조 지역본부 4곳 추가 압수수색

입력 2013-12-20 02:35


정부가 철도 파업에 대해 강경 대응을 천명하고 노조 지도부 검거와 파업 참가자에 대한 징계에 착수하자 노동계가 서울 등에서 대규모 집회를 여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경찰은 파업 11일째인 19일 대전과 부산 등 지역본부 4곳의 사무실에 대해 추가 압수수색을 벌였다. 압수수색은 오전 8시를 전후해 대전과 부산, 전남 순천, 경북 영주 등에 있는 철도노조 지역본부 사무실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경찰은 지역본부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 하드드라이브와 문서 등을 압수했다.

경찰은 이와 함께 김명환 위원장 등 노조 집행부와 실무 간부급 조합원 25명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검거에 나섰다. 경찰은 오후 1시15분쯤 철도노조 영주지역본부 윤모(47) 영주차량지부장을 체포했다. 윤씨는 조합원들을 선동해 불법파업 유도, 코레일에 손실을 입힌 혐의(업무방해) 등으로 체포영장이 발부된 철도노조 간부 중 처음으로 검거됐다.

경찰은 필요할 경우 핵심 참가자에 대해 추가로 체포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전국 지방경찰청장 화상 회의를 주재해 엄정한 대응을 지시했다.

정부가 강경 대응에 나서자 철도노조는 오후 6시 서울시청 광장에서 민주노총 등과 함께 대규모 2차 상경집회를 열었다. 민주노총과 철도노조는 앞서 오후 2시 서울 정동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체포영장 발부와 사무실 압수수색은 철도노조뿐만이 아닌 모든 노동자에 대한 탄압”이라며 “박근혜 정부의 책임을 묻는 강력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레일은 노조의 연기요청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20일 ‘수서발 KTX 운영 법인’의 면허를 발부하기로 해 노사 간 대치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레일이 이날 오전 9시까지 최후통첩의 복귀명령을 내렸으나 조합원 복귀율은 10%를 약간 웃도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열차 운행은 평시 대비 83.1%로 전날과 같은 가운데 KTX 88%, 새마을호 56%, 누리로를 포함한 무궁화호는 61.8%의 운행률을 보였다. 일반 전동열차는 92.2%, ITX-청춘은 63.6%가, 화물열차는 39.4%가 운행했다. 화물연대가 전날 철도화물 수송 거부에 들어가면서 물류업계도 영향을 받고 있다. 경기도 의왕시 의왕컨테이너기지(의왕ICD)에서 처리하는 물동량은 평상시의 70%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전=정재학 기자, 조성은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