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부인하지만 장성택 측근 망명설 확산

입력 2013-12-19 02:31

정부 당국의 강력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장성택 측근 망명설이 계속 흘러나오고 있다.

망명설의 요지는 지난 9월쯤 장성택 숙청 기류를 감지한 노동당 소속 북한 군부 고위 인사가 중국 베이징으로 도피해 우리 정부에 망명을 요청했고, 현재 주중 한국대사관 등지에서 우리 군과 정보당국의 합동심문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 인사가 북한의 핵시설에 관한 고급 정보를 가지고 있다거나 김정일·김정은 부자의 비자금 내역을 담은 문서를 소지하고 있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 내부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워 온 중국과 미국이 이 인사의 신병 확보를 위해 우리 정부와 외교전을 벌였다는 설도 제기됐다. 또 우리 군 영관급 인사가 망명 인사를 한국으로 빼돌리려다가 중국 공안에 발각돼 억류 중이라는 설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18일 “중국 등에서 신분을 속이고 우리 군 정보사령부 요원들이 활동하면서 안가를 운영하고 있다”며 “이전에도 대령 1명이 중국 공안에 잡혀서 데려오는 데 곤욕을 치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가 망명 인사를 국내로 송환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고, 장성택 측근들의 추가 망명 요청에 대비해 주중 한국대사관을 중심으로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는 설도 나온다.

또 일부에선 장성택과 가까운 노동당과 군 간부 수십명이 중국으로 망명했다는 확인되지 않는 소문까지 나오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6일 청와대에서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열어 장성택 처형 이후 한반도 정세와 우리의 안보상황이 매우 엄중하다고 발언하자 정부가 망명 인사로부터 북한 내부 동향과 도발 시나리오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그러나 정부 당국은 이 같은 망명설 모두를 부인했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우리는 그런 정보가 없다”며 “모두 근거가 없는 낭설일 뿐”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일제히 망명설을 부인하고 있는 것은 실제 망명 인사를 확보해둔 상태에서 중국과 북한을 자극하지 않고 비밀리에 국내로 송환하기 위한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