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3대 혁신으로 비리 오명 씻자”

입력 2013-12-19 01:34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순혈주의 타파’를 위해 본사 처·실장의 절반을 외부 인사로 채우기로 했다. 조석(사진) 한수원 사장이 지난해부터 불거진 납품 비리 등 원전 비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한 조치로 파격적인 내용이어서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다.

한수원은 18일 내부 비리 및 납품 시스템 개선을 위한 조직·인사·문화 등 3대 혁신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원전 비리의 주요 배경으로 꼽힌 폐쇄적 순혈주의를 없애고 외부 인사 영입을 확대키로 했다. 한수원은 최근 수력양수본부장, 원전본부장, 홍보실장, 신재생사업실장 등 7개 직위에 대한 사내외 공개 모집을 실시해 5명을 외부 인사로 임명했다.

손병복 전 삼성엔지니어링 부사장을 원전본부장으로 선임한 것을 비롯해 홍보실장과 방사선보건연구원장에는 여성 외부 인사를 선발했다. 원전본부장에 기술직이 아닌 사무직군을 임명한 것과 고위직에 여성을 임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년에는 1급인 본사 처·실장 31명 중 절반을 외부 인사로 채울 예정이다. 직무능력 중심의 직군 간 교차보직제도도 신설해 부서 간 장벽을 낮추기로 했다.

원전설비에 대한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설비본부를 엔지니어링 본부로 확대 개편하는 등 조직도 재정비한다. 구매 업무 담당 부서인 구매사업단에는 부품 원가 조사와 협력사 관리 기능도 신설키로 했다. 감시 부서인 품질보증실과 감사실의 기능도 대폭 확대했다. 현장 중심의 인력 운용을 확대하기 위해 올해 초 본사 인력의 22%(272명)를 현장으로 배치한 데 이어 219명을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재무구조개선팀을 신설해 과투자 문제를 해결하고 경비도 절감키로 했다. 원전 사후관리조직을 강화해 원전 운영허가기간 만료에 따른 대응체제도 선제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원전 공기업(한국전력기술·한전KPS·한전원자력연료) 및 민간업체(두산중공업)와 원전운영협의회도 구성해 원전 설계부터 건설, 운영, 정비 등 모든 단계에서 협업체제로 운영키로 했다.

한수원은 사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내·외부 전문가 집단인 경영혁신위원회를 통해 추진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조 사장은 “원전 비리와 관련해 많은 조치를 취했지만 중요한 것은 1만명이나 되는 조직원들의 자발적 의지가 없이는 안 된다”며 “직원들로부터 받은 600건 이상의 의견을 토대로 3대 혁신 계획을 마련한 만큼 꼭 성공시키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수원은 부품 시험성적서 위조사건으로 가동을 멈춘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호기를 이달 말쯤 재가동할 예정이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