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무기 폐기 확인 사찰단… 시리아, 한국대표 입국 거부
입력 2013-12-19 01:34
시리아가 자국 내 화학무기 폐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찰단에 한국인이 포함되는 것을 거부했다. 북한과의 비밀 군사협력 관계가 한국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속셈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은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한국 대표의 비자 발급을 거부하고 있다. 지난 10월 14일 체결한 화학무기금지협약은 국적에 따라 사찰단을 걸러내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협정을 위반하면서까지 한국 대표의 입국을 막고 있는 것이다.
OPCW 한국 대표는 북한의 무기체계를 잘 알고 있는 국방부 관료 출신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관계자들은 이 대표가 사찰할 경우 시리아가 북한과 벌인 대량살상무기 관련 작전이 새나갈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이런 조치를 내린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은 1966년 시리아와 수교한 이후 꾸준히 군사 기술을 수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리아 반정부단체 연합체인 시리아국민연합(SNC)의 아흐마드 투으메 총리는 최근 “북한이 시리아로 전문가를 보내 알아사드 정권을 지원한다는 첩보를 입수했다”고 말했다. 시그리드 카그 유엔개발계획(UNDP) 사무차장보는 이 같은 사실을 한국 정부에 알리면서 “앞으로도 한국 대표에게 비자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고 복수의 유엔 관계자가 전했다.
그러나 협정 위반을 한 시리아가 제재를 받을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5개 이사국이 전부 동의해야 제재를 가할 수 있지만, 시리아의 핵심 우방인 러시아가 합의할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