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수정 기회 또다시 준 교육부
입력 2013-12-18 02:55
최종 승인 이후에도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을 둘러싼 시비가 이어지는 가운데 교육부가 교과서 8종에 대해 재차 표기상 오류 수정 기회를 줘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17일 “출판사들이 자체적으로 표기 오류를 바로 잡을 게 있다고 해 내용상 변경을 가져오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23∼24일 이틀간 내도록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선 교육부가 최종 승인 후에도 친일 시각 서술 등에 대한 비판이 끊이지 않는 교학사 교과서에 사실상 수정 기회를 한 번 더 주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단순 표기 오류에 한정한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출판사가 내용상 오류까지 바로잡겠다며 수정대조표를 내놓을 경우 이를 승인하지 않을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교학사 교과서에 친일 시각이 담겼다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당 유기홍 의원은 “8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교학사 교과서는 대한제국 ‘대한국 국제(國制)’의 전근대성을 서술하며 ‘대일본제국 헌법’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교과서가 입헌군주제 도입을 주장한 독립협회와의 입장차를 비교하거나 ‘대한국 국제’의 의의를 서술한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유 의원에 따르면 교학사 교과서 197쪽 ‘자료탐구-동아시아 삼국의 헌법 비교’에는 중국과 대한제국, 일본의 헌법 조항 일부가 나란히 배치됐다. 중국과 대한제국의 헌법은 황제의 절대권을 강조하는 조항이 거론된 반면, 일본 헌법은 근대적 입헌군주제를 나타내는 조항이 수록됐다.
교학사 교과서는 ‘도움 글’을 통해 “대한국 국제는 황제의 절대 권한을 주로 서술한 반면 대일본 제국 헌법은 법률 제정과 국회 등 입헌제 국가의 기반을 확립했다”고 서술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