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좌파 용어 바로잡기 나선 재계
입력 2013-12-17 01:29
재계가 ‘용어 바로잡기’에 나섰다. 역사·정치·복지·문화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잘못된 용어가 사회 갈등을 부추기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진보진영의 역사교육을 대한민국 지우기로 바꿔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극단적인 보수우파의 시각을 대변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재계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한국경제연구원은 16일 대한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바른 용어(정명·正名)를 통한 사회통합의 모색’ 토론회를 열었다. 한경연 사회통합센터 현진권 소장은 “바른 용어를 쓰지 않는 데서 오는 혼란이 사회통합을 저해한다”며 사회주의 좌파용어 바로잡기에 나섰다고 취지를 밝혔다.
역사 분야 발제를 맡은 명지대 강규형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교수는 “1970∼80년대 북한 및 국내 안보 위해 세력이 용어혼란전술의 일환으로 사용하던 정치·역사 용어가 정상용어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방치하면 결국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위협당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우려했다. 정치 분야를 담당한 한림대 김인영 정치행정학과 교수는 정치적 목적 때문에 왜곡돼 정확한 개념을 잃은 용어가 많다며 사회민주화, 경제민주화를 지목했다. 그는 사회민주화는 복지 확충, 경제민주화는 경제적 평등의 추구로 불러야 한다고 했다.
충북대 임병인 경제학과 교수는 복지 수요를 복지 욕구, 복지 투자를 복지 지출이나 복지 재원투입, 사회보험 사각지대를 사회보험 미적용지대로 바꿔 부를 것을 제안했다. 인하대 조희문 영화예술학부 교수는 문화제는 시위현장 공연, 국제연대는 외세동원 조직화, 표현의 자유는 선동의 자유, 역사교육은 대한민국 지우기로 바꿔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