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투기 농구’ 헤인즈, 2경기 출전정지 솜방망이 징계
입력 2013-12-17 02:50
경기중 상태팀 선수를 팔꿈치로 가격해 물의를 일으킨 프로농구 외국인 선수 애런 헤인즈(32·서울 SK)에게 출전정지 제재가 내려지자 농구팬들의 공분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프로농구연맹(KBL)은 16일 서울 논현동 KBL센터에서 재정위원회를 열어 헤인즈에게 출전정지 2경기에 제재금 500만원을 부과했다.
헤인즈는 지난 14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전주 KCC와의 경기중 속공 과정에서 공과는 상관없이 백코트하던 김민구(22)를 가격해 쓰러뜨렸다. 김민구는 명치 통증을 호소하며 그 뒤로 경기를 소화하지 못했고 KCC는 핵심요원을 잃은 채 SK에 완패했다.
하지만 KBL은 이번에도 ‘솜방망이 징계’로 조기 진화에 나서는듯한 인상을 남겼다. 누가 보더라도 고의성이 다분한 폭력성 파울에 대한 징계치곤 수위가 너무 낮다는 목소리가 높다. 동업자 정신을 망각한 선수라면 제명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한 라운드를 뛰지 못하는 징계가 뒤따랐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온라인에서는 헤인즈를 리그에서 퇴출해야 한다는 서명운동까지 벌이지고 있다. 그러나 KBL은 “과거 선수간의 비신사적인 행위에 따른 징계와 비교했을 때 이번 헤인즈의 징계도 결코 가볍지 않다”고 밝혔다. 국내 프로농구에서 동료 선수에 대한 비신사적 행위로 가장 큰 징계를 받은 선수는 최명도(SK 빅스)였다. 최명도는 2002∼2003시즌에 김승현을 주먹으로 때렸다가 출전정지 3경기에 벌금 500만원 제재를 받았다. 또한 김성철(인천 전자랜드)은 2008∼2009시즌에 기승호를 팔꿈치로 가격해 출전정지 2경기, 벌금 300만원 징계를 받았다.
그동안 국내 농구 코트를 어지럽힌 외국인 선수는 헤인즈 뿐만이 아니다. 퍼비스 파스코(심판 폭행·창원 LG), 디앤젤로 콜린스, 테렌스 섀넌(SK), 캘빈 워너(안양 KT&G·이상 대마초 흡연), 브라이언 매튜스(성범죄 전력 은폐·서울 삼성), 아이반 존슨(반복된 욕설·KCC) 등은 제명된 선수들도 있다.
KBL은 매 시즌이 시작하기 전 한 차례 외국인 선수들을 모아 소양 교육을 실시한다. 그러나 되풀이되는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리그나 구단 차원의 교육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한편 KBL은 SK와 KCC의 경기에서 헤인즈의 이상한 행동을 발견하지 못한 해당경기 주심에게도 징계를 내렸다. 최한철 주심은 견책, 이상준 2부심은 1주일간 경기에 나설 수 없다.
KBL 관계자는 “팀 성적을 올리기 위해 이들의 일탈을 눈감아 주는 구단들의 책임도 크다”고 밝혔다.
윤중식 기자 yun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