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아베정권 1년] 韓·美 주한미군 방위비 협상 이견 커… 해 넘길 가능성도 배제 못해

입력 2013-12-16 01:40

한국과 미국은 14일 내년 이후 적용될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제9차 고위급 협의’ 3일차 회의에서도 주요 쟁점에 대해 합의하지 못했다. 한·미 양국은 16일 이후에 후속 협의 일정을 잡기로 했으나 양국 간 이견이 커 협상은 자칫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정부 관계자는 15일 “협상이 마지막 단계에 와 있기 때문에 합의를 이룬 부분도 있지만 상당 부분은 아직 합의가 없다”고 말했다.

현재 한·미 양측의 입장 차이가 가장 큰 부분은 내년도 방위비 총액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8695억원인 총액을 놓고 우리 측은 상식적인 수준에서의 조정을, 미 측은 대폭 증액을 요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국내 정서와 그동안의 인상폭 등을 고려할 때 정부가 내년도 방위비 총액으로 9000억원을 훨씬 넘는 금액을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방위비 분담금 총액이 정해지지 않으면서 총액과 연동되는 다른 의제도 미합의 상태다. 방위비 분담금 협상은 총액을 정한 뒤 협정 유효기간과 인상률을 정하는 방식이다. 대체로 유효기간은 3년(2014∼2016년), 연도별 인상률은 현재처럼 물가상승률이 기준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지만 총액 규모에 따라 유효기간이 늘어나거나 인상률이 상향될 가능성도 있다.

우리 정부가 관심을 기울인 방위비 분담금 제도 개선 문제도 일부만 진전이 있는 상태다. 방위비 지급분 중 미집행 부분과 관련해선 한·미 양측이 개선 방향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투명성 제고 방안으로는 사전에 분담금 사용방안을 협의하거나 사후에 이를 검증하는 것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