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충우돌 세종시 1년] ‘차 없는 명품도시’ 표방했지만 공무원 배로 ↑ 교통대란 우려
입력 2013-12-16 02:28
세종시는 ‘차 없는 명품도시’를 표방한다. 친환경적이고 시민친화적인 도시를 만들겠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부처의 2단계 입주 이후 공무원 인구가 배로 늘어나면 세종시 ‘교통대란’이 현실로 드러날 것이라는 우려가 일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도시 콘셉트(대중교통 중심)와 현실(열악한 대중교통)의 불일치다. 친환경 첨단도시로 육성한다고 했으면서도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세종시 대중교통수단인 BRT(간선 급행버스)의 배차 시간은 20분당 1대(출퇴근시간대 10분) 꼴이다. 또 정류장 인근에 있는 정부 부처는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뿐이어서 다른 부처에 가려면 10분 이상을 걸어야 한다. 자가용이 없으면 이동 자체가 불편한 환경이다. 마을버스같이 도시 구석구석을 연결해주는 대중교통수단이 도시계획에 포함돼 있지만 먼 미래의 일이다. 세종시가 인구 50만의 ‘명품도시’로 자리 잡는 시점은 2030년이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차 없는 도시’ 개념은 200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념 아이디어 공모에 당선된 작품은 ‘탈권위’와 ‘소통’을 핵심으로 담고 있었다. 도시의 중심은 녹지와 공원으로 조성하고 중앙행정기관과 문화공간, 대학·연구단지 등을 그 주변에 배치하도록 돼 있다. 여기에 친환경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망을 추가했다. 15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따르면 세종시 교통수단별 분담률 중 승용차는 30% 이내로 설정돼 있다.
‘차 없는 도시’ 개념에 따라 도로도 좁게 설계됐다. 저상버스가 지나는 도로 대부분은 왕복 4차로다. 자동차가 늘면서 출퇴근시간 때는 세종청사 주변은 벌써부터 신호를 두세 번 받아야 통과할 정도다. 정부부처 2단계 입주와 함께 들어오는 공무원 약 4900명의 상당수가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출퇴근길은 더욱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주차공간 부족도 가중될 전망이다. 청사 지하공간이 1층밖에 없어 건물 내 주차장이 부족하다. 정부는 2단계 입주에 대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세종시 외곽도로와 청사를 연결하는 도로 4개를 추가로 개통해 교통량을 분산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경찰과 공조해 출퇴근 시 신호 간격을 줄이고 저상버스 배차 간격도 20분에서 15분으로 줄이기로 했다. 하지만 세종시의 한정된 도로 사정을 감안할 때 교통대란은 점점 현실로 다가올 전망이다.
세종=백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