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채동욱 혼외자 의혹 정보 유출’ 배후 ‘제3의 인물’ 추적 나서

입력 2013-12-13 01:39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 의혹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조오영(54) 전 청와대 행정관에게 개인정보 유출을 지시한 제3의 인물을 압축해 추적 중인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장영수)는 혼외자로 지목된 채모군 가족관계등록부가 무단 열람된 지난 6월 11일 전후 조 전 행정관과 의미있는 통화를 나눈 인물들을 특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행정관은 당시 청와대가 지급한 업무용 휴대전화가 아닌 개인 휴대전화로 집중 통화했다고 한다. 검찰은 특히 개인정보 유출 배후가 조 전 행정관이 지목한 안전행정부 김모(49) 국장이 아닌 또 다른 인물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조 전 행정관 통화 내역 중 눈여겨 봐야 할 부분이 있다”며 “휴대전화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다 확인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청와대 측으로부터 조 전 행정관이 사용한 휴대전화와 컴퓨터 자료, 사무실 유선통화 내역, 자체 진상조사 자료 등을 임의제출 받아 분석해 왔다.

검찰은 조 전 행정관의 진술이 번복되고 있는 데다 외부에서 관련자와 말맞추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관련자 진술이 사실관계와 엇갈리는 부분이 많아 실제 정보를 유출한 서초구청 조이제(53) 행정지원국장과 실무자인 김모 팀장도 최근 재차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조 전 행정관 자택이나 청와대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이 이뤄지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압수수색 방식을 통하지 않더라도 볼 수 있는 건 다 보고 있고 필요한 자료도 다 갖고 있다”며 “개인정보 유출이 개인적 부탁을 통한 단선적 형태로 이뤄져 방대한 자료가 필요한 게 아니다”고 말했다.

검찰 관계자는 “머뭇거릴 이유도 없고 누굴 봐줄 이유도 없다. 자료를 분석하고 진술과 맞춰가는 과정에서 좀 더 시간이 걸릴 뿐이지 다른 의도나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