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숙청 이후] 北 국지 도발 예의 주시… 국가안보 정책조정회의 잇따라 개최

입력 2013-12-12 01:35

청와대와 정부가 급박하게 돌아가는 북한 내부 정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과 그 주변 세력에 대해 대대적인 숙청을 진행 중인 북한이 국지도발 같은 형태의 돌발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남북 관계와 핵 문제 해소에도 새로운 난관이 생겨날 수 있다는 걱정도 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국무회의에서 “북한의 위협이 증대하고 있다”고 밝힌 것도 이 같은 분위기를 감안한 것이다. 우리 정보 당국은 북한 지도부가 3만명에 이르는 ‘장성택 세력’을 쳐내는 과정에서 ‘내부’ 불안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외부’ 도발 감행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만약 북한이 이런 선택을 한다면 4차 핵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 같은 형태보다는 남한을 상대로 한 국지 도발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정부 소식통은 11일 국민일보와의 접촉에서 “중국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철저하게 견제하는 상황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진행하기는 힘들어 보인다”며 “이란 문제를 해결한 미국이나 전통적 우호국인 러시아까지 모두 반대하는 국제정치 역학도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무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지난번 천안함 사건도 생전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경제위기로 좌절에 빠진 북한 내부 민심을 다른 데로 돌리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인 만큼 이번에도 이런 형태의 국지 도발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물론 장 부위원장 숙청 이후 군부의 영향력이 커진 것을 감안할 때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순 없다.

정부가 걱정하는 것은 바로 이 같은 북한의 불가측성이다. 정부는 최근 잇따라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보 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북한의 내부 동향과 정세 분석을 거의 일일보고 형태로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규모 숙청 사태 이후 아직은 북한의 특별한 군사적 이상 동향은 없지만 언제라도 우리를 향한 도발이 촉발될 수 있음을 예방하자는 차원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