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채권단, 상장폐지 가닥
입력 2013-12-12 01:34
쌍용건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3000억원 신규자금 지원안을 채권단에 제안했다. 하지만 출자전환은 하지 않기로 해 신규자금이 지원되더라도 쌍용건설은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은행을 포함한 산업·신한·국민·하나 등 쌍용건설 채권단은 11일 오전 서울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에서 채권단운영협의회를 열고 군인공제회의 가압류 조치에 대한 대응책 등을 논의했다.
이날 모임은 비협약 채권자인 군인공제회가 지난 4일 쌍용건설의 남양주 아파트 건설 사업장 미수금과 관련한 공사대금 계좌를 가압류한 이후 처음 마련됐다. 군인공제회는 쌍용건설이 시공사로서 지급보증한 원리금 1235억원을 돌려 달라며 가압류했다.
회의에서 우리은행은 쌍용건설에 신규자금 지원안을 내놨다. 규모는 3000억원. 신규자금이 지원되면 1200억원가량은 군인공제회에 자동 상환되며 나머지만 운전자금으로 쓰이게 된다. 군인공제회가 출자전환 동참 요구를 거절하자 법정관리를 피하기 위한 우리은행의 고육책 성격이 짙다. 대신 출자전환은 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건설은 연말까지 출자전환이 없으면 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된다. 쌍용건설의 상장폐지를 감수하더라도 출자전환은 하지 않기로 한 것은 상장 유지가 더 이상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쌍용건설은 상장폐지될 경우 해외 수주에 지장이 있다는 입장이지만 채권단은 이미 쌍용건설의 해외 수주가 막힌 상황이어서 상장 유지가 큰 도움이 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우리은행의 방안에 대해 채권은행들은 여전히 반대하고 있어 통과 가능성은 미지수다. 채권단 관계자는 “신규 지원자금이 군인공제회 자금 상황에 쓰인다면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