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동두천 미군기지 계획대로 이전돼야"

입력 2013-12-11 16:53

[쿠키 사회] 경기도가 동두천 지역의 미군기지 이전은 당초 계획대로 이뤄져야 하며, 정 잔류를 원한다면 주민들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기도는 11일 “동두천 시민에 대한 사전 협의나 지원계획이 없는 주한미군 한강이북 잔류계획 검토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며 “잔류 시에는 동두천시민과의 사전공감대 형성뿐 아니라 충분한 지원과 보상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방부와 한미연합사는 2016년 동두천의 미군기지를 평택으로 이전할 계획이었다가 최근 동두천 지역 내 잔류계획을 밝혀 시와 시민, 시민단체들의 강력한 반발을 사고 있다.

조청식 경기도 안전행정실장은 이날 “최근 양평군 탄약대대 이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소규모 군부대 이전도 지역주민의 반발로 무산되는 것이 현실”이라며 “경기북부 지역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미군잔류 문제는 신중히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논란이 되고 있는 한미연합사단 창설과 포병여단 재배치 문제에 대해서도 국방부와 한미연합사가 확실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실장은 또 “북한의 핵과 장사정포 위협 등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동두천에 계속 주둔해야 한다면 ‘동두천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과 동시에 제주 강정마을이나 평택 수준의 보상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수도권정비계획법의 적용범위에서도 동두천시와 연천군을 제외해야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동두천시는 2004년 동두천 미군기지의 평택 이전계획이 확정되면서 지역경제가 침체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으나 ‘미군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 제정과 ‘미군공여지를 활용한 종합발전계획’ 수립 등을 통해 안정을 되찾고 있는 중이다.

의정부=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수익 기자 sag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