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행환경 개선지구 5곳 처음 지정

입력 2013-12-11 02:35


서울의 명동·이태원 등 관광명소이자 보행인구가 많은 5개 지역이 보행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됐다. 이곳에는 보행자 안전은 물론 지역 특성을 고려한 개선작업이 이뤄진다.

서울시는 ‘보행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광진구 구의강변로, 용산구 이태원세계음식문화거리, 중구 명동관광특구 및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성북구 역사문화지구 등 5곳을 보행환경 개선지구로 처음 지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평소 보행인구가 많고 주거·관광·문화 등 지역별 특색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보행환경 개선지구는 지난해 8월 시행된 안전행정부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것이다. 기존 보행전용거리가 단순히 차량을 막고 편안하게 걸을 수 있는 공간만 제공했던 것과 달리 보행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면 보행자 이동패턴, 주변 상권, 교통량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지구 단위의 맞춤형 개선작업이 추진된다.

시는 우선 아파트 등 주거 밀집지역인 구의강변로에 주민 제안을 반영, 연말까지 차·보도 구분이 명확치 않은 이면도로에 보도블록을 설치하는 등 보행자 안전을 위한 작업을 연말까지 마치기로 했다. 축제와 행사가 자주 열리는 이태원세계음식문화지구는 이미 아스팔트가 깔려있던 거리 전체가 보도 형태로 포장됐고 노후계단 정비, 송전선 지하 매설 등을 통해 보행환경도 개선됐다.

시는 또 명동관광특구와 DDP에는 실태 점검을 통해 개선안을 수립, 2015년까지 공사를 완료키로 했다. 보행시설 개선은 물론 시각정보디자인 접목 등 다양한 개선사업을 통해 지역상권 활성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역사문화지구에 대해서는 성북동길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방문객 보행쉼터 등을 조성하고 간송미술관, 성북구립미술관 등 문화시설 및 유적지 안내표지판도 신설키로 했다.

윤준병 도시교통본부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보행환경 개선지구를 매년 2곳 이상 지정해 관리하고, 교통·안전시설 조성을 위한 기술 및 행정적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자치구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