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에도 저물가… 2%대 초반 머물듯
입력 2013-12-11 01:35 수정 2013-12-11 18:55
정부가 저물가의 원인 중 하나로 내수 부진을 지목했다. 그동안 국제원자재 가격 안정 등 공급 요인을 강조했던 움직임과는 다른 것이어서 디플레이션(경기침체에 따른 물가하락)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내년 물가상승률은 2%대 초반으로 한국은행의 물가전망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10일 ‘물가동향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는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연평균 1%대 물가상승률을 기록했다”며 “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이 약해졌다”고 설명했다.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물가상승률은 1.2%에 불과해 2003∼2012년 소비자물가 상승률(3.1%)보다 1.9% 포인트나 낮았다.
정부는 그동안 저물가의 원인으로 수요 부진을 꼽는 것은 자제해 왔다. 경기침체에 따른 구조적 요인보다는 국제원자재 가격 안정, 농산물 가격 하락 등 공급 요인 쪽에 무게를 뒀다. 하지만 보고서에서는 내수 부진을 명시하면서 “내수여건에 민감한 개인서비스 가격상승률이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률은 2011년 3.7%까지 올랐으나 지난해와 올해는 각각 1.1% 상승하는 데 그쳤다.
기재부는 보고서에서 “경기가 좋아질 때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이 선진국보다 0.2% 포인트 높다”고 분석했다. 내년 선진국 물가상승률로 국제통화기금이 1.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9%를 전망한 점을 감안해 한국의 내년 물가상승률을 2%대 초반으로 본 것이다. 여기에 무상보육·급식 효과가 내년에 사라질 경우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부의 생각이다. 하지만 경기회복세가 더딘 탓에 한은의 내년 물가전망치(2.5%)를 달성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의 낮은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내수 부진의 영향이 컸다”며 내년 물가상승률을 1.7∼2.3%로 제시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년에 경기회복이 본격화되면 수요 면에서 상승 압력이 발생해 물가가 오를 것”이라면서도 “국제원자재 가격이 안정돼 전체적으로는 물가안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