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당 의원들의 설화 어디가 끝인가
						입력 2013-12-11 03:38  
					
				어렵사리 정상화된 정국이 살얼음판이다. 민주당의 양승조 최고위원과 장하나 의원의 입(口)이 빌미를 제공했다. 양 최고위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 암살 사건을 언급하면서 박근혜 대통령도 그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장 의원은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사건을 들어 박 대통령의 사퇴와 내년 지방선거 때 대통령 보궐선거 실시를 주장했다. 그러자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양 최고위원 발언은 언어 살인이자 대통령 위해(危害)를 선동하는 것”이라고 발끈했고, 장 의원에 대해선 “어느 나라 국회의원이냐”고 공격했다.
두 의원은 10일에도 자신들의 발언에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 밝혔다. 사과나 유감을 표명하지 않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양 최고위원의 경우 박 대통령이 총체적 난국을 해결하기를 기대하는 마음에서 한 말이라고 설명했으나 ‘암살’이란 표현을 사용하며 현직 대통령을 비판한 것은 과했다. 3선의 최고위원에 걸맞지 않은 언급이다. 대선 불복을 선언한 장 의원은 정치인의 기본 소양을 갖추고 있는지 의문시된다. 초선의 청년비례대표로 아무리 정치 경험이 일천하더라도 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부정해서 뭘 어쩌자는 건가.
새누리당은 초강수를 두고 있다. 두 의원을 겨냥해 “저주의 굿판을 걷어치우라”면서 의원직 제명안을 제출했고, 민주당 지도부에 사과와 재발방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에 민주당은 새누리당과 청와대가 공포정치를 부활시키려 한다고 맞받아쳤다. 여야의 대립으로 국가정보원개혁특위 전체회의와 예결특위 예산안조정소위가 한때 파행을 겪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개인 소신 발언에 신중을 기해주기 바란다”며 “추후 당의 단결을 해치거나 당의 이해와 배치되는 언행에 대해선 대표로서 단호하게 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김 대표의 경고를 유념해야 한다. 일반적인 국민 정서를 고려하지 않거나 반대되는 발언은 민주당에 결코 득이 되지 않는다. 민주당은 설화(舌禍)로 인해 정국이 경색되는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세심하게 신경써야 할 것이다. 새누리당과 청와대는 과잉 대응을 자제해야 한다. 현직 대통령을 모독한 발언이라고 해도 국정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집권세력으로서 갈등을 증폭시키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박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국론 분열을 부추기고 도를 넘는 과격한 발언을 하는 것은 결코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정쟁을 위한 것이라고 국민께서 판단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두 의원을 지칭하지는 않았으나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이다. 하지만 대통령이 직접 나서는 게 적절했는지는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