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음식 산업화 계획 표류
입력 2013-12-10 14:29
[쿠키 사회] 제주 향토음식을 관광산업화하는 ‘제주음식 산업화’정책이 겉돌고 있다.
제주도는 고유의 향토음식을 관광 상품화해 도민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제주음식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그러나 체계적인 계획이나 예산 확보 없이 수년째 표류하고 있다.
도는 2009년 제주도 향토음식 육성 지원 조례를 제정하며 제주 음식 산업화를 시작했다. 향토음식의 발굴·육성, 원형보전 및 특화를 통한 관광 상품화를 위해 향토음식육성기본계획(5개년)을 수립·시행하고, 향토음식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 등을 실시한다는 내용이다.
조례가 제정된 지 4년이 지났지만 구체적인 실천 로드맵이나 조례에 제시된 향토음식육성기본계획 조차 마련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추진된 사업은 향토음식 명인 지정과 향토음식점 시설투자에 그치고 있다.
향토음식 육성 주관부서도 보건위생과에서 식품산업과로 이관되면서 그나마 음식산업화에 구색을 맞췄던 ‘제주 음식축제’도 폐지됐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전국 59명의 식품명인을 발표했으나 제주에서는 단 1명도 포함되지 않았다.
제주향토음식 관계자는 “음식 산업화와 관련해 구체적인 사업은 없고 개괄적으로만 진행되면서 아쉬운 부분이 많다”며 “전북 전주시나 타 지자체는 향토음식 육성을 다양하게 지원하는 반면 제주 지역은 오히려 후퇴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