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오영 前행정관 입만 바라보는 檢

입력 2013-12-10 03:27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 의혹 관련 개인정보 유출 경위를 추적 중인 검찰이 조오영(54) 전 청와대 행정관의 ‘입’을 여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채모(11)군의 인적 정보가 서울 서초구청에서 열람돼 조 전 행정관에게까지 전달된 과정은 확인했지만 다음 단계로 수사를 진척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장영수)는 지난 4일 이후 조 전 행정관을 3차례나 불러 조사했다. 조 전 행정관이 이번 사건의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다는 뜻이지만, 그가 수사에 협조적이지 않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검찰이 조 전 행정관을 피의자로 수사하며 압박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검찰은 유출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들의 유선전화 및 팩스 등의 사용 내역도 들여다보고 있다. 조 전 행정관의 청와대 사무실 팩스의 송·수신 기록 역시 조사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조 전 행정관이 채군의 개인정보 조회 요청을 한 인물로 지목한 안전행정부 김모(49) 국장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복원했지만 혼외자 관련 내용이 오간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 문자메시지 내용이 없다고 해서 김 국장의 개입 의혹이 해소된 것은 아니지만 김 국장이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는 상황에서 뚜렷한 증거가 나오지 않는다면 방어논리를 깨기 쉽지 않다. 김 국장의 변호인은 9일 “검찰이 아직 소환 통보를 하지 않았다. 김 국장은 빨리 조사를 받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검찰은 조 전 행정관이 전화통화 기록, 문자메시지 복원 등으로 확인된 사실관계와 일부 다르게 진술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조 전 행정관에게 개인정보 조회를 지시한 ‘윗선’의 존재 가능성도 꾸준히 제기되는 상황이다.

한편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출석해 윗선을 신속히 수사하라는 야당 의원들의 요구에 대해 “검찰이 진실을 밝히기 위한 수사를 시간을 다퉈가면서 하고 있다”며 “소환을 하든, 강제수사를 하든, 아니면 임의수사를 하든 단계를 밟아야 한다”고 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