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진단 의식조사] ‘착한 사회’ 정치에 달렸다

입력 2013-12-10 01:45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은 착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가장 많이 바뀌어야 할 분야로 ‘정치’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9일 나타났다.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사건을 비롯해 사사건건 정쟁을 벌이고 있는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국민일보가 창간 25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2일 조사한 결과 ‘좋은 사회’ 또는 ‘착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 최우선 해결 분야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6.0%가 정치 분야를 꼽았다. 다음으로는 경제 분야 26.2%, 사회 분야 15.3% 순이었다.

‘착함’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 국민들이 정치권에 매긴 점수는 100점 만점에 38.3점으로 낙제점을 줬다. 경제 분야도 49.9점으로 박한 점수를 매겼다. 사회 분야는 52.5점으로 가까스로 50점을 넘었다.

착한 정치를 위해 노력이 필요한 집단으로는 국민(유권자) 20.8%, 대통령 19.3%, 야당 15.9%, 여당 14.6% 등의 순으로 지목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응답자는 53.1%였고, 부정적인 평가는 38.4%였다. 유보적인 평가는 8.5%였다.

‘좋은 사회’ 또는 ‘착한 공동체’에 가장 잘 어울리는 대통령 후보를 묻는 질문에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20.4%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다음으로는 민주당 문재인 의원(9.9%), 박원순 서울시장(5.4%),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5.0%), 김문수 경기도지사(3.4%) 등의 순이었다. 또 좋은 사회 또는 착한 공동체에 가장 잘 어울리는 서울시장 후보로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30.6%로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10.1%), 김황식 전 국무총리(7.4%), 정몽준 의원(5.3%)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 오차는 ±3.1% 포인트다. 응답률은 16.6%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