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진단 의식조사] 경제도 낙제 못면해… 이익, 사회와 나누는 제도육성 시급
입력 2013-12-10 01:51
착한 경제의 조건
한국 사람들은 착한 경제 실현을 위해 ‘이익을 사회와 나누는 제도 육성’이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착한 경제를 위해서는 대기업과 정치인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경제 분야에 대한 평가에서 우리 국민들은 49.9점이라는 낙제점을 줬다.
◇블루칼라는 상생, 화이트칼라는 분배에 초점=국민일보와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의 지난 1∼2일 여론조사에서 ‘착한 경제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1.2%가 ‘이익을 사회와 나누는 등 국민을 배려하는 기업 및 제도 육성’을 첫손에 꼽았다. 소비자인 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이익에 대한 공정한 분배가 이뤄지는 것이 가장 중요
하다는 의미다.
이어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을 위해 배려·상생하는 기업 및 제도 육성’(29.0%), ‘기업 운영 및 기업 간 원칙을 지키는 공정한 기업 및 제도 육성’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 및 제도 육성’(각 14.8%)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답변은 성·연령·지역·학력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의 직업에 따라 시각에는 차이가 있었다. 블루칼라 응답자의 35.5%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상생 제도 육성’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선택했다. 반면 화이트칼라 응답자들은 ‘이익을 사회와 나누는 기업 및 제도 육성’을 꼽은 비율이 32.4%로 가장 많았다. 학생들은 유일하게 1순위 과제로 ‘공정한 기업 및 제도 육성’(31.6%)을 지목했다.
◇대기업과 정치인의 노력이 중요=‘착한 경제가 되기 위해서는 누구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36.7%가 ‘대기업’을, 31.8%가 ‘국회의원 등 정치인’을 꼽았다. ‘소비자’라고 답한 응답자는 7.5%에 그쳤다. 이외에 ‘경제부처’(6.5%)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5.3%) ‘주요 공기업’(5.0%) ‘언론’(3.4%) 등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정치인보다는 대기업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그만큼 반기업 정서가 크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만 19∼29세(41.8%)와 30대(41.3%), 40대(44.7%), 50대(34.5%) 모두 착한 경제를 위해 대기업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반면 60대 이상은 41.9%가 정치인을 1순위로 꼽았다. 지역별로는 충청권(43.0%)과 강원·제주(38.8%)에서만 정치인을 꼽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서울(36.7%)과 인천·경기(34.4%), 대구·경북(44.3%), 부산·울산·경남(46.0%) 등 대다수 지역의 응답자들은 기업의 역할에 좀 더 무게를 뒀다. 응답자 중 중졸 이하 학력자는 44.8%가 1순위로 정치인의 노력을, 대재 이상 학력자는 41.4%가 1순위로 대기업의 노력을 선택했다.
한국 경제에 대한 평가는 남성(50.8점)이 여성(49.0점)보다 점수를 후하게 줬다. 연령대별로는 50대(50.2점)·60대 이상(52.1점)이 30대(48.4점)·40대(48.5점)보다 높은 점수를 줬다.
대통령 후보로 여권 인사를 택한 응답자들은 50점 이상을 준 반면, 야권 후보를 선택한 응답자들은 40점대의 박한 점수를 줬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을 지지하는 응답자들의 점수는 평균 49.7점으로 전체 응답자 평균과 엇비슷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