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아동안전지킴이 만족도조사 ‘신뢰성 논란’… 아전인수 셀프 설문 뒤 홍보

입력 2013-12-07 01:32

경찰이 신뢰하기 어려운 현장 만족도 조사를 내세워 어린이 안전 정책을 홍보하고 있다. 인사철에 횡행하는 ‘보여주기’식 조사가 여전히 시행되고 있는 것이다.

경찰청은 지난 5일 ‘아동안전지킴이 운영 만족도 등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아동안전지킴이란 학교 밖에서 순찰하며 어린이 안전을 지키는 사람들이다. 노인회와 전직 경찰인 재향경우회 회원들이 대부분이다.

설문 결과 교사·아동·학부모의 인지도는 90.7%에 달하며, 79.9%는 ‘아동 안전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거주하는 지역이 안전한지 묻는 질문에는 64.1%가 ‘안전하다’고 답했다. 배움터지킴이 등 유사 서비스를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은 95.2%나 됐고, 관리 주체를 경찰로 해야 한다는 응답이 45.9%로 교육부(32.2%)를 압도했다.

그러나 조사 방식에 문제가 있었다. 조사를 지구대 경찰관들이 담당했다. 이들은 직접 설문지를 배부한 뒤 수집하고 다녔다. 더구나 아동안전지킴이 가운데 25%는 전직 경찰인 재향경우회 소속이다. ‘셀프 설문’을 벌인 뒤 이를 홍보한 것이다.

설문 대상 선정에도 문제가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당초 “어머니폴리스 등이 주된 설문 대상이었다”고 했다가 “무작위로 설문대상을 선정했다”고 말을 바꿨다. 그러면서 설문 대상 선정은 전국 250개 경찰서별로 차이가 있어 취합은 어렵다고 했다. 경찰청은 각 지방청에 조사를 지시하면서 ‘설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아동’ ‘학령기 아동을 둔 학부모’라고만 기준을 제시했다. 따라서 설문 대상 중 이해관계자들이 포함됐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경찰 관계자는 “당초 전문 리서치 기관에 의뢰할 계획이었지만 기획재정부에서 예산을 받지 못해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