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나루] 與 의원 국정원 개혁특위 참여 왜 꺼리나

입력 2013-12-07 01:35


국회에서 가장 ‘핫(hot)’한 위원회가 될 것으로 보이는 국가정보원 개혁특별위원회가 새누리당에서는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고 있다. 당내 의원들이 개혁 특위 참여를 꺼리고 있다. 지난 6∼7월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때와는 분위기가 딴판이다.

당초 국정원 개혁 특위에는 조원진·권성동·김재원·이철우(이상 재선), 김도읍·송영근·조명철 의원(이상 초선) 등 7명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부가 특위 참여를 고사한 데다 그나마 참여 의사를 밝힌 의원들은 민주당에서 ‘강경파’로 지목돼 최경환 원내대표의 골치를 썩이고 있다.

때문에 원내지도부는 야당의 반대가 심한 의원과 참여를 꺼리고 있는 의원들을 제외하고, 중량감 있는 의원을 포함해 명단을 새로 짜고 있다. 유기준 최고위원과 황진하 의원(이상 3선) 등이 새롭게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이 위원장으로 5선의 정세균 의원을 내세운 만큼 대적이 가능한 4∼5선급 의원을 참여시키고 싶지만 적극적으로 나서는 의원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위 인기가 하락한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일단 ‘귀찮다’는 반응이다. 명단에 포함된 한 의원은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솔직히 성가시고 귀찮다”고 털어놨다. 내년 2월까지 활동해야 하는데 연말연초까지 활동을 이어가는 것이 부담이고, 시간이 흐를수록 여론의 주목도가 떨어져 실익이 없다는 계산이다.

특위 참여로 자칫 악역을 맡게 될 수 있는 점도 문제다. 당 일각에서는 “야당 요구대로 국정원을 ‘요리’하는 역할을 맡는 것 아니냐”며 “특위가 파행될 수도 있는데 그리되면 정국 파행 책임까지 떠맡게 될 수 있다”고 ‘특위 회피론’이 나온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