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찍어내기’ 의혹] 檢, 조오영 전 靑 행정관 고강도 조사

입력 2013-12-06 02:43

검찰이 채동욱 전 검찰총장 혼외아들 의혹과 관련해 개인정보를 불법 열람한 청와대 총무비서관실 조오영(54) 행정관을 비공개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5일 조 행정관이 정보유출 의뢰자로 지목한 안전행정부 중앙공무원교육원 김모(49) 부장(국장급) 자택 등도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장영수)는 4일 오후 7시쯤 조 행정관을 소환해 자정 무렵까지 조사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자체 감찰 결과를 발표하고 조 행정관을 직위해제 조치한 직후다.

검찰은 조 행정관이 누구의 지시를 받고 서초구청 조이제(53) 행정지원국장에게 채모군 개인정보 확인을 부탁했는지 등을 캐물었다. 검찰은 조 행정관이 조 국장과 문자메시지로 관련 대화를 나눈 지난 6월 11일 전후의 통화 목록에 김 부장이 여러 차례 등장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3일 조 행정관에게 업무용과 개인용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받아 통화기록과 데이터 등을 분석해 왔다. 검찰은 청와대 민정수석실로부터 감찰 자료도 제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 행정관은 청와대 조사와 마찬가지로 “김 부장이 채군 신상정보를 알려주고 맞는지 확인을 부탁했다. 어떤 내용인지는 몰랐다”는 취지의 답변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검찰총장 혼외아들 의혹을 건드리다니 제 정신이냐”며 강하게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날 오후 3시쯤 수사관 6명을 보내 김 부장의 서울 도곡동 자택과 경기도 과천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김 부장이 접촉한 인물을 찾기 위해 명함첩과 각종 메모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장은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지만 검찰은 김 부장을 개인정보 유출 최초 지시자에 가장 근접한 인물로 의심하고 있다. 채 전 총장의 혼외아들 의혹 탐문 과정이 개인적 친분 관계에 엮인 비선라인을 통해 은밀히 진행됐던 만큼 개인정보 유출 과정에 소수의 인물만 관여했을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검찰이 신속한 물증 확보를 위해 조 행정관 소환 이후 13시간 만에 김 부장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선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조 국장, 조 행정관, 김 부장이 모두 TK(대구·경북) 인사들인데다 각각 청와대와 국정원, 서울시, 안행부 등에서 근무한 경력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배후에 대한 의혹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 수사로 채 전 총장과 각을 세웠던 원세훈 전 국정원장 라인이나 현 국정원 라인, 청와대 등 국가기관의 ‘채동욱 찍어내기 기획설’ 역시 힘을 받고 있다,

이에 원 전 원장 측 관계자는 “원 전 원장이 관련 소식을 듣고 ‘왜 자꾸 나를 끌고 들어가는 건지 모르겠다’며 부인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채군 개인정보가 유출된) 지난 6월은 원 전 원장이 국정원장 신분도 아니고 자연인인데다 미움을 받던 사람 아니냐. 낙동강 오리알 같은 사람을 위해 누가 그런 일을 해주겠느냐”고 전했다.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여러 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받지 않았다.

검찰은 의혹이 커지지 않도록 최대한 수사 속도를 올린다는 방침이다. 김진태 신임 검찰총장도 수사팀에 국민적 의혹이 일고 있는 만큼 신속한 수사를 지시했다고 한다. 검찰은 이날 수사팀에 검사 1명을 보강했다. 검찰은 전날 휴대전화 분석 전문 수사관 2명도 파견했다. 그동안은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 오현철 부부장이 혼자 수사해 왔다.

전웅빈 문동성 기자 imung@kmib.co.kr